아하
검색 이미지
치과 이미지
치과건강상담
치과 이미지
치과건강상담
훌륭한뿔영양139
훌륭한뿔영양13922.08.20

턱관절 증상 및 스플린트 대해서

안녕하세요 20대 초반인데요
재가 어릴때 턱관절 증상이 좀 있었는데 그때는 심하지 안해서 괜찮았습니다
병원을 못 갔습니다
18년 세월이 흐르고 갑자기 올해 6개월 전에 밥먹다가 말하다가 하품하다가 등 너무 심하게 오른쪽 턱이 아파서 구강내과 턱관절 전문 병원에 갔습니다
CT결과 좌우가 과두 모양이 달아서 뾰족하고 디스크도 빠지고 양쪽 턱관절이 있었습니다
한동안 병원다니면서 물리치료를 했더니 통증이 없어졌습니다
지금은 말하면 왼쪽 턱에서 소리나고 먹을때도 가끔 오른쪽 턱에서 소리가 나고요

턱관절 전문 병원에서는 완치를 못 한다고 합니다

디스크가 빠져 나간 것도 모양이 달라진 것도 스플린트를 하면 제자리로 돌아오나요?
지금은 양쪽 턱이 통증은 없습니다
이거 완치 될 수 있나요?
스플린트 처음 끼고 있으면 자거나 너무 아픈가요?
스플린트 제작할때도 아픈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말씀하신 것으로 보아서는 턱관절 질환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보통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스플린트를 하게 되면 더 이상 병이 진행되지 않으나 병이 너무 진행된 상태라면 스플린트 치료를 하더라도 제자리로 돌아오지 못하고 평생 관리하면서 살아야할 수도 있습니다. 즉 완치 여부는 현재 병의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스플린트를 처음 끼면 불편감이 있을 수 있으나 크게 통증은 없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턱관절 질환으로 인해서 과두가 염증으로 흡수과 되었다면 원상태로 돌아오는것은 힘듭니다.

    하지만 치료등으로 증상을 줄일수는 있습니다 .

    턱관절에 문제가 생기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주로 원인이 되는 것이 턱에 과도한 힘이 들어가는 현상 때문인 경우가 많아요.

    치아에 힘이 들어가는 경우는 평소에 우리가 음식을 먹으려는 순간이지만 치아에 힘이 가하지 않아야 할 순간에도 힘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어요.

    예를 들면 힘든 운동을 한다거나 무언가 집중할때 치아를 꽉 물고 있는 습관, 수면시 무의식중에 이를 갈거나 강하게 무는 습관 또는 등에 의해서 턱관절에는 필요 이상의 힘이 들어가게 됩니다.

    턱관절을 치료하는 방법은 결과적으로 이 턱관절에 들어가는 힘을 줄이는 것 입니다. 턱을 괴거나 하는 것이 아닌 이상 치아에 닿았을 경우에만 턱관절에 힘이 들어갑니다. 따라서 치아가 닿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하고 치아가 닿는 순간에도 평소보다 1/2의 힘이 들어가게 행동조절을 하게 되면 턱관절에 들어가는 힘을 줄일 수 있습니다.

    힘을 줄이지 않고 방치했을경우에는 턱관절에 있는 디스크가 변형이 되어 소리가 나고 통증이 올수 있어요

    인지하는 중에 힘조절을 하실수 있으면 조절을 해주시는게 좋고 자는 동안이라든지 무의식중에 그런 습관이 있는경우는 근육이완제같은 약물 치료나 스플린트를 이용해 턱관절에 들어가는 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자세한 확인을 위해서 치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세요.

    참고 - 턱관절질환

    https://blog.naver.com/kocyon/221313858059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말씀대로 턱관절은 완치가 어렵습니다. 턱관절이 더 안좋아 지는걸 방지하는게 목적입니다. 스플린트를 끼고 자는게 아프진 않지만 불편감이 잇습니다. 그리고 제작할때 아프거나 그렇진 않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8.20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과위생사입니다.

    완치라기 보다는 조절이 가능할수 있습니다.

    스프린트 제작, 착용은 통증이 있지 않았습니다.

    예방법으로는 단단하고 질긴 음식을 제한 합니다.

    음식을 양쪽으로 골고루 씹습니다.

    입을 갑자기 크게 벌리지 않습니다.

    무리한 턱관절 운동을 하지 않습니다.

    바른 자세를 유지합니다.

    긴장완화를 위한 이완운동을 합니다.

    온찜질을 해줍니다.

    카페인 계열의 음료를 줄여 숙면을 취합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