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무빙캣
무빙캣22.05.09

최근 갑자기 볼에 여드름과 홍조가 심해졌는데 왜 그런걸까요?

중고등학생때는 이마와 코쪽은 지성이라 여드름이 잘 났으나 볼쪽은 건성이라 트러블 하나 없이 깨끗했어요. 약 2년전부터 마스크를 쓰는 일이 많아져서인지 깨끗하던 볼쪽에도 트러블이 하나씩 나더라고요. 그래도 1년전 쯤에는 많이 심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올해들어서는 거울보면서 스트레스 받을정도로 얼굴에 모공도 넓어진 것 같고 붉은기에 여드름같은 것도 납니다. 걱정돼서 피부과를 내원했는데 모낭염 진단 받고 약을 먹자 하루이틀 정도 피부가 매우 깨끗해졌는데 약이 너무 센 건지 피부가 너무 건조해져서 중단했습니다.

저는 평소에 화장을 안 하고 선크림, 눈썹, 입술 정도만 하는 편이고 기초화장품은 스킨, 에센스, 로션, 수분크림을 발라줍니다. 피부때문에 며칠 전에 징크크림을 사서 발라봤는데 좁쌀 여드름이 나길래 중단했습니다. 기초 화장품이 문젠가 싶어서 스킨 로션만 바르니 볼쪽이 너무 땡기더라고요. 사진은 샤워 후 기초 제품만 바르고 찍은 사진입니다. 샤워하면서 세안할 때는 미지근한 물로 하는데도 샤워하고 나오면 특히 붉은기가 심하고요, 여드름같이 보이는 빨간 것들을 보면 좁쌀 여드름처럼 안에 고름같은게 들어있지도 않은데 대체 뭔가요? 마스크 때문인지 화장품 때문인지 너무 스트레스 받아요. 기초제품을 바꿀 생각을 하고 있는데 그냥 피부과를 가봐야할까요?

*약간의 열감과 따가움(아프진 않음), 가려움이 있습니다.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 사진만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우나 피부 발진이 볼쪽에만 마스크 착용 후 생기기 시작했다면 마스크로 인한 접촉성 피부염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실외 마스크 조항이 사라지므로 최대한 마스크 착용을 줄이시면서 경과를 관찰하시고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내원하시어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5.11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코로나가 시작되고 마스크 때문에 입주변에 여드름이나 모낭염이 생기는 환자가 많아졌습니다. 아무래도 지속적인 자극이 큰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치료는 자극원을 없애는 것이나 마스크를 안 쓸 수가 없어서 답답한 상황이죠. 증상이 너무 심한 경우에는 피부과에 내원하셔서 먹는 약을 1~2주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약만 먹어도 일시적으로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가 많고, 관리를 하더라도 이렇게 좋아진 상태에서 관리를 해야 훨씬 수월합니다. 당연히 약효는 일시적이라 약을 끊으면 다시 악화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심할 때는 약물 복용만큼 효율적인 치료는 잘 없습니다. 경우에 따라 병변이 국소적인 경우 바르는 약으로 치료가 가능하기도 합니다.

    피부과 전문의 진료를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트러블이 악화되는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피부에 자극이 가해지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진정 효과가 있는 연고 등을 처방받아 적용해보시기를 권장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안면홍조가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혈관을 싸고 있는 교원 섬유와 탄력 섬유가 손상되고 처음에는 이 손상이 회복되지만 만성적으로 햇빛에 노출되면

    변성이 일어나 피부 노화가 발생, 혈관이 확장되어 안면홍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오랫동안 여드름, 아토피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등과 같이 피부에 염증이 만성화된 경우 후유증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단 안면홍조가 오면 다음의 현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얼굴에 갑자기 열이 오르는 느낌과 함께 얼굴이 빨갛게 달아오르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증상은 수분 이내로 가라앉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 보통 사람들에 비해 더 자주 나타나고 오래 지속되는 것이 보통입니다.

    얼굴에 홍조가 생기며 따갑거나 화끈거리는 증상이 동반되고, 붉은 반점이 수시간에서 수일간 지속될 경우 주사(ROSACEA)를 의심해 보아야합니다.

    치료법은 홍조의 발생 원인을 확인한 경우에는 해당치료를 시행하면 홍조 증상이 호전됩니다.

    폐경과 관련된 안면홍조의 치료는 약물요법을 포함하며 여성호르몬인 에스

    트로겐 보충 요법이 효과가 있습니다.

    비약물적 요법으로 안면 홍조를 악화시킬 수 있는 뜨겁거나 매운음식, 카페인이 다량 함유된 음식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서적 불안감과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날씨가 더워지면서 그리고 호르몬 분비의 변화가 발생하면서 해당증상이 발생할순 있습니다.

    질문 내용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을 내릴수가 없습니다. 진단에는 신체진찰, 각종 검사들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