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재빠른들소8
재빠른들소8

우리나라의 국민연금의 소득율은 약 40-43% 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의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은 약 40-43 프로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선잔국 특히 영국.프랑스 등의 국가는 소득대체율이 얼마정도 인가요 ?

요즘 두 나라가 경제위기라고 해서 문의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먼저, 한 자료에 따르면 프랑스의 공공연금 소득대체율은 일반적으로 60~70%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OECD 평균보다 높고 은퇴자에게 유리하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영국의 공적연금 소득대체율은 47.6% 정도로 다른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다른 나라 국민연금 대체 소득률에 대한 내용입니다.

    프랑스의 경우 놀랍게도 연금의 소득 대체율이 무려 74퍼센트이고

    영국은 28퍼센트로 우리보다 낮은 편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다만 비교시 주의해야할점이 있습니다. 국가마다 계산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세전기준인지 세후기준인지, 공적연금만 포함하는지 사적연금까지 포함하는지, 평균소득자 기준인지, 완전경력 가입을 전제하는지 등에 따라 수치가 크게 달라집니다.

    영국만 보더라도 영국의 국가연금소득대체율은 약 28-30% 수준으로 낮아보이지만 이외에도 직장연금 개인연금까지 포함하면 총 소득대체율이 50-65% 수준까지 올라가며 모든 근로자가 자동으로 직장연금에 가입되도록 구조화하였습니다. 그리고 프랑스는 선진국 중에서도 가장 관대한 연금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공적연금만으로도 소득대체율이 약 60-65% 수준에 달할정도로 매우 높습니다.

    이외에도 독일은 공적연금은 50%수준이나 개인연금까지 포함시 60%이상이며 ㅇ리본도 62%나 되며 미국도 40~45%이나 401k 직장연금을 포함하면 이보다 훨씬 높습니다. 그리고 PECD평균은 약 58%로 이며 한국은 이들보다 확실히 낮은편에 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