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사회 시대의 사회 안전망 구축 방안은 무엇일까요?
대한민국은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으며, 노후 대비 부족, 만성 질환 증가, 사회 참여 기회 감소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고령 사회 시대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정책 방안과 사회적 합의 방안은 무엇이 있을까요?
아직은 복지를 하려고 하면 포퓰리즘이다 물가상승한다 사회주의다 빨갱이다!! 기업이 망한다고 난리치는 나라입니다
시민들이 스스로 복지를 주장해야하는데 그 때문에 손해보게 된다고 믿는 사람이 있기에 합의가 어렵습니다
현정부들어서 희귀난치병환자 의료혜택또한 예산을 삭감했고 인공눈물이라던가 뇌경색환자 지원등 많은 것을
전정부와 다르게 가고 있습니다. 이는 역대 헌정역사상 처음있는 일이라고 합니다
요즘 노인으로 구성된 군부대를 만들자, 출퇴근으로 하자 라는 의견을 내는 사람도 있는데요
복지든 경제든 정치가 하는 부분이 크겠죠
지금 인구절벽으로 노인들에게 공공의 일을 맡기는 것이 좋을텐데
우리들 보다는 노인들이 스스로 목소리를 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젊은이들과 갈라먹기가 아닌 젊은이들이 안하는 안하려는 쪽에 일을 맡을수밖에 없어보입니다
정부차원에서 노인 비상 연락망 등 정비와 더불어서 노령인구 건강검진 실시, 방문 서비스 등 여러가지를 하여야 사회 안정망이 구축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의 대화와 협력 강화와 공공 및 민간 부문의 협력을 통한 정책 실행, 그리고 공정하고 투명한 의사결정 과정 구축 및 고령 사회 시대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및 홍보활동 실시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결국 인구가 고령화되고, 이런 고령 인구가 많아지기 때문에 성장보다는 복지에 중점을 두고 소위 '선별적 복지'를 통해 도움이 필요한 분들에게 적절한 복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이들에게도 일할 기회를 주어 사회 참여 기회를 최대한 제공, 보장함으로써 소외감을 줄임으로써 최대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해 주어야 하겠습니다.
질문하신 고령사회 시대에서 사회 안전망 구축은 어떤 방안이 있을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최근 한국 사회는 가파르게 고령사회를 넘어서 초고령사회로 진입하였는데
특히 한국의 노인 빈곤률이 매우 높습니다.
그렇기에 정부에서는 수당이나 연금 지급 등을 통해서
이들을 관리해야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