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ㅍㅅㅍ
ㅍㅅㅍ

어떤 생물은 혈육끼리 성관계를 하기도 하나요??

~몇촌까지 결혼을 할 수 없다 그런 건 우리나라만 그런건가요?? 피 섞인 사람들끼리 아이를 낳으면 그 아이가 병들에 걸려있을 확률이 높다던데.. 그거때문에 혈육끼리 성관계를 안 하는건가요? 그리고 인간 외의 생물들은 혈육끼리 성관계를 하나요(잦은 일인지도 궁금해요)? 그러면 그 생물들의 자손은 인간의 자손처럼 병들거나 그렇진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간 사회에서는 혈연 관계에 따른 결혼 제한이 있으며 이는 윤리적, 문화적, 유전학적 이유에서 비롯됩니다. 유전적으로 가까운 혈족 간의 번식은 유전병이나 선척적 결함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ex : 합스부르크), 이는 유전적 다양성의 감소 때문입니다. 유전적 다양성이 높을수록 생물의 적응력이 향상되고, 질병에 대한 저항성이 강화됩니다.
    다른 동물들의 경우, 혈연 간 성관계의 발생은 종에 따라 다릅니다. 일부 종에서는 혈연 간 교배가 일반적이지 않으며, 이는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한 본능이 있기 때문입니다. 예컨데, 많은 포유류와 새들은 가까운 친척과의 교배를 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일부 곤충, 물고기, 파충류에서는 친척 간 교배가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자연 선택은 유전적 변이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점차적으로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혈연 간 교배가 일반적인 동물에서도 유전적 결함의 위험은 존재하지만, 이는 짧은 세대 간격과 높은 번식률을 통해 일부 완화될 수 있습니다. 일부 동물은 매 세대마다 큰 수의 후손을 낳기 때문에, 유전적 결함이 있는 개체가 생존하고 번식하는 빈도가 낮을 수 있습니다.
    인간과는 달리, 많은 동물 종에서는 문화적, 법적 제약이 없기 때문에 생물학적, 환경적 요인이 혈연 간 교배의 주된 조절 메커니즘으로 작용합니다. 그러므로, 동물 세계에서는 유전적, 생태적 조건에 따라 혈연 간 교배의 빈도와 그 결과가 결정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혈육끼리의 성관계는 많은 국가에서 다양한 이유로 금기시되고 있으며, 유전적, 사회적, 윤리적 이유가 있습니다. 혈연이 가까운 사람들(예: 친형제, 친자매)이 자손을 낳을 경우, 같은 유전적 결함이 두 번 존재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결함이 표현형(증상)으로 나타나게 되며, 이는 유전적 질병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예를 들어, 같은 유전자 변이가 두 번 존재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열성 유전병의 경우, 두 부모 모두 같은 열성 유전자를 가지고 있을 경우 자손에게 그 병이 나타날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많은 현대 사회에서는 가까운 혈연 간의 결혼을 법적으로 금지하거나 제한합니다. 이는 유전적 질병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조치입니다. 일부 동물에서는 혈연 간의 성관계가 관찰되기도 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자연에서 드물지만, 특정 환경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야생에서 개체수가 적거나 분리된 환경에서는 혈연 간의 성관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물에서도 혈연 간의 성관계로 인해 유전적 질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소수의 개체군에서는 유전적 다양성이 제한되어 있으며, 유전적 결함이 자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네, 어떤 생물들은 혈육끼리 짝짓기를 하는 경우가 있고 이를 근친교배라고 합니다.

    근친교배가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서식지가 좁거나 개체수가 적어 다른 개체를 만나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일부 생물의 경우 특정 사회적 구조를 가지고 있어 근친 간의 짝짓기가 더 흔하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인위적으로 특정 형질을 고정시키거나 유지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근친교배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순종을 만들기 위한 동물 품종 개량 등이 있죠.

    그러나 근친교배의 경우 유해한 유전자가 고정될 확률이 높아져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지고, 생존율이 낮아질 수 있고 유전적 결함을 가진 개체가 태어날 확률이 높아져 기형이나 선천적인 질병을 가진 개체가 많아질 수 있습니다. 결국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하면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어려워져 종 전체가 멸종될 위험이 높아집니다.

    1명 평가
  • 많은 생물들이 혈육끼리 교배를 피하려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종마다 다릅니다. 일부 동물들은 혈육 간 교배를 통해 자손을 남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인간 사회에서는 근친상간이 법적으로나 문화적으로 금기시되며, 이는 유전적인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측면도 있습니다. 근친 교배 시 유전적 질환의 발생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는 생물학적, 사회적 이유로 피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다른 동물들도 혈육 간 교배로 인해 유전적 문제를 겪을 수 있지만, 일부 종들은 근친 교배를 통해서도 생존하고 번성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동물들의 근친교배는 후손의 유전적 다양성을 감소시켜 후손이 약해질 수 있는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근친교배는 유전적 결함이나 질병의 발현 확률을 높이고, 면역력 저하와 같은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하면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떨어지고, 이는 생존과 번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많은 동물들은 본능적으로 근친교배를 피하는 행동을 보이며, 이는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한 자연적인 방어 기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