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후덕한스컹크59
후덕한스컹크5922.11.27

아이가 새벽에 깨서 울면 어떻게 해줘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지인 집에서 잘 일이 있었는데 9개월된 아이가 새벽1시에 깨서 울길래 안아 줄려고 했는데 안아주면 안된다고 했다고 그냥 재우려고 하던데 아이가 새벽에 울면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28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낮에 있었던 경험으로 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는 행동이 멈출 때까지 엄마가 품에 안고 잠을 재웁니다.

    아이가 편안하게 잠이 들기 전까지 간접등을 켜고 잔잔한 음악을 틀어줍니다.

    가능하면 낮 시간에 놀라는 일이 없도록 세심히 살핍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새벽에 깨면 안아주셔도 무관합니다.

    아이가 새벽에 깨는것은 야경증이나 악몽 혹은 잠자리의 불편함등의 요인일수있기에

    안아주어서 달래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울 땐, 부모가 반응을 보여 줘야 합니다.

    아이는 아무 이유없이 우는 게 아니기 때문에 부모가 아이의 주변 환경을 점검하시고,

    울 만한 원인을 제거해 줘야 아이가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찾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는 얕은 수면을 하기 때문에 자다 깨다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아이가 울 때, 보호자가 옆에 있는 것을 인지시켜주어, 편안함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토닥여 주거나, 공갈 젖꼭지 등을 사용하셔서 아이가 다시 잠들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방법은 아이마다, 주양육자의 생각마다 다릅니다.

    아이가 울면 무조건 안아주는 부모가 있고, 울게 그대로 두는 부모가 있습니다.

    뭐가 더 옳은지 정답은 없지만 일관성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같은 시간을 자는 아기라고 하더라도 자주 깨거나, 재우기 어려운 아기들이 있습니다. 기질적으로 까다로운 아기라서 그럴 수도 있고, 영아 산통 같은 신체적 불편함이 있거나, 수유량이 적거나, 방이 덥거나, 기저귀가 젖었거나 하는 사소한 문제도 아기의 잠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어쩔 수 없이 먹여야 하는 상황이라면 아기를 완전히 깨워서 먹이기보다는 조명을 좀 어둡게 하고 조심조심 행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아기가 너무 자주 먹으려 한다면 아기가 깨더라도 스스로 잠들게 좀 기다려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ㅜ달래지지ㅜ않으면

    안아서 달래야겠지요

    그것보다는 아이가 배가고파서 깼는지

    기저귀때문인지

    이런 것을 살펴서 다시 재우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첫번째 배가 고픈 경우


    두번째 이가 나는 시기 이 앓이하는 경우


    셋째 기저귀 발진등으로 인한 통증


    넷째 지나친 관심과 자극(흔히 손이탔다고 하죠?)


    다섯째 감기등의 질병이 들었을 경우


    등등 여러가지 가능성이 있습니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아이가 운다면 여러가지 가능성을 살펴서 그것을 해결해줄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그중 예민한 아이의

    경우일수 있습니다.

    부시럭 소리에도 예민하게 깨는 아이들이 있고 그렇다고 아무 소리도 안 낸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 또 그렇게 조용하게만 키우면 더 예민해지게 되므로

    너무 시끄러워도 좋지 않지만, 너무 조용하게만 한다고 좋은 것은 아닙니다.

    자그마한 소리에도 아이가 깰 때는 아이들 토닥여주거나 엄마가

    옆에 있으니 걱정하지 말고 자라고 하면서 조용히 엄마의

    목소리를 들려주면 대개는 잠이 들게 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통상적으로 아이는 잠드는 것이 어려우며 잠들었다 하더라도 자주 깨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는 상대적으로 얕은 잠을 자기 때문에 악몽을 꾸거나 바깥의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잠이 든 후 1~2시간 사이에 울거나 뒤척이는 일이 잦습니다. 문제는 깬 다음에 스스로 잠이 들지 못하고 누가 옆에 있거나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안아주세요.... 아이에게 누군가 옆에서 본인의 잠을 잘자도록 돕고 있다는것을 알려줘야 합니다.

    1. 잠자리 온도를 시원하게 해주세요

    2. 많은 스킨십을 해주세요

    3. 손발을 자주 주물러주세요

    그리고 잠들기전에 위의 활동들이 의외로 아이의 수면에 도움을 줍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새벽에 울다면 바로 안아주거나 하지 마시고

    아이의 등을 쓰다듬어주는 등 하여 안정감을 주도록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