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물리

우람한땅돼지263
우람한땅돼지263

두 개의 드론이 다른 높이에서 호버링 할 때 두 드론이 내는 힘은 같은가요?

창밖을 보다가 문득 드론에 대한 궁금증이 들었습니다. 질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고3 때 배운 물리의 운동 에너지와 위치에너지를 사용하여 궁금증을 해결해 보려 했지만 잘 안되네요..)


총 높이가 H인 건물이 있습니다. 해당 건물의 옥상에서 드론 A를 띄웠습니다. 드론은 dh 만큼 상승하여 공중에 가만히 있는 상태입니다. 드론 B는 지면에서 dh 만큼 띄운 상태에서 가만히 있습니다. 여기서 A 드론이 건물의 옥상 바깥으로 이동하여 지면으로의 높이가 H + dh가 되었습니다. 그러면 드론 A는 드론 B와 같은 힘을 사용하여도 H + dh 위치에 있을 수 있는 건가요? 높이가 더 높은 곳에 호버링하고 있으려면 낮은 곳에서 호버링 하는 것보다 더 많은 힘이 필요한 게 아닌가 싶어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높이 H인 건물 옥상에서 드론 A가 dh 만큼

    상승하여 공중에 떠 있습니다.

    드론 B는 지면에서 dh 만큼 떠 있는 상태입니다.

    드론 A가 건물 옥상 바깥으로 이동하여

    지면으로부터 높이 H + dh 위치에 도달합니다.

    드론 A가 H + dh 위치에 있기 위해 드론 B와 같은 힘을 사용할 수 있을까요?

    드론 A가 H + dh 위치에 있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 에너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위치 에너지: 지면으로부터 높이에 따라 변하는 에너지입니다.

    운동 에너지: 드론의 움직임에 따라 변하는 에너지입니다.

    위치 에너지:

    드론 A가 H + dh 위치에 있을 때의 위치 에너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치 에너지 = mgh + mgh'

    여기서:

    m: 드론의 질량

    g: 중력 가속도 (9.8m/s^2)

    h: 지면으로부터 드론 B의 높이 (dh)

    h': 옥상으로부터 드론 A의 높이 (H + dh)

    드론 B가 지면에서 dh 만큼 떠 있을 때의 위치 에너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치 에너지 = mgh

    운동 에너지:

    드론 A가 H + dh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옥상에서

    dh 만큼 상승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드론 A는 운동 에너지를 얻게 됩니다.

    드론 A의 운동 에너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운동 에너지 = 1/2mv^2

    v: 드론 A의 상승 속도

    드론 A가 dh 만큼 상승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에너지 = 위치 에너지 + 운동 에너지 = mgh + mgh' + 1/2mv^2

    비교:

    드론 A가 H + dh 위치에 있기 위해서는 드론 B보다

    더 높은 위치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드론 A는 dh 만큼 상승하는 과정에서

    운동 에너지를 얻게 됩니다.

    따라서 드론 A가 H + dh 위치에 있기 위해 드론 B보다

    더 많은 힘을 사용해야 하는지,

    같은 힘을 사용할 수 있는지는 드론 A의 상승 속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드론 A의 상승 속도가 충분히 높다면 드론 B와 같은 힘을

    사용하여 H + dh 위치에 머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드론 A의 상승 속도가 낮다면 드론 B보다

    더 많은 힘을 사용해야 합니다.

    드론의 실제 힘은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 바람 저항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이 문제는 이상적인 상황을 가정하여

    분석한 결과이며

    실제 상황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