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폰이나 닌텐도 게임에 빠지는건 부모의 잘못이 100%일까요?
요새 유튜브나 닌텐도 게임에 빠져서 자주 하다가 눈도 안좋아지고 있는데 그렇다고 아예하지 말라고 하기도 쉽지 않구요. 이게 버릇이 되서 예전에 하는 양보다는 줄었지만 이제는 초등학교에 들어갈 나이라서 하루에 어느정도 제한도 둬야 할 것 같은데 다른 책에 보니 서양에서는 10세 이전에는 거의 폰을 못 쥐게 한다고 하더라구요. 그게 옳은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네 아이들은 자기조절 능력이 성인에 비해 부족하기 때문에 휴대폰을 늦게 줄 수 있으며 늦게 주는게 좋습니다.
스마트폰과 같은 미디어에 오랜 시간 노출되다 보면 뇌발달, 눈건강, 일상생활, 학습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스마트폰의 위험성을 느낄 수 있도록 스마트폰과의존예방교육을 시청하면 효과적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인터넷 스마트폰쉼센터에 방문하면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아이가 휴대폰 외에 다른 쪽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이 부분은 부모님의 꾸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집 안에 있는 동안에는 책을 읽거나
보드게임이나 말놀이와 같이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내고
가족이 함께 운동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것도 효과적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주말이나 휴일에는 가족과 함께 여행, 공연관람, 각종체험 활동,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여가를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아이와 휴대폰을 사용하는 시간이나 조건한번 등을 다시 한번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겠습니다.
만약 되지 않는다면 어플로 관리를 해줄 수 있습니다.
구글 '패밀리링크'를 통해 아이의 휴대폰 사용시간, 사용 어플 제한, 위치정보 공유가 가능합니다.
자유로운 환경을 조성하고 민주적인 양육태도로 아이를 키운다는 것이 중요하지만,
아이의 안전과 건강에 관련된 사항이라면 다시 한번 고민해 봐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전문가들은 가급적 늦게 그리고 시간은 짧게 제공하라고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저는 아이가 통제할 수 있는 능력 (끄는 시간에 끌 수 있음) 그리고 부모님과 이야기가 된 부분이라면 조금은 허용해도 된다라고 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부모의 책임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들이 유튜브, 닌텐도에 집착을 하는것은 아이와 시간을 잘 안보내는 부모님의 영향이 있습니다. 폰은 늦게 접하게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아이들과 같은 경우 자극적인 영상과
게임 등에 노출이 많이 되면 중독의 우려가 크기 때문에
제한을 하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미디어를 오랫동안 하다보면 공격적인 행동이 나올 수 있으며,
또한 눈 깜빡임이 줄어 들어서 시력에 지장이 생길 수 있으니, 오래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 같아요.
아이와 함께 미디어 시청 시간을 약속을 정하고,정해진 시간 내에서만 하는 것은 괜찮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릴 때 부터 아이에게 폰을 쥐어주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시력도 좋지 않고, 뇌의 발달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지요. 지속적으로 미디어에 노출이 되면 거의 중독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쉽게 스마트 폰에서 손을 떼기도 쉽지가 않습니다.
지금 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갈 나이라면 어느 정도는 제한을 두어야 합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서 스마트폰 사용 적정시간을 정해놓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