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삼국시대 시기 신라는 왜 가장 늦게 중앙집권체제를 이루었나요?

안녕하세요

삼국 중 고구려가 가장 먼저 중앙집권체제를 이루어 강력한 왕권하에 번성할수 있었는데요

이에 반해 신라는 가장 늦은 시기에 중앙집권체제를 이루었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시간여행자75
      시간여행자75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의 경우 특이한 부족국가의 형태로 시작하였는데, 그것이 박, 석, 김 성을 가진 핵심세력들이 돌아가면서 왕을 했습니다.

      처음 박혁거세가 주위 6개의 부족을 통합하여 신라를 건국하고, 그 부족의 포섭을 위해 핵심되는 세력들이 번갈아가면서 왕을 했기 때문에 권력의 분산도 심했습니다. 그러나 이후 신라는 김씨성으로 왕족이 단일화되었고, 엄격하게 골품제라는 신분제도 내에서 승계를 해나가면서 권력도 집중되기 시작했습니다.

      초기에 지도자를 '거서간(시조)→차차웅(무당)→이사금(왕,우두머리)→마립간(왕,우두머리)→왕'으로 당시 중국 및 주변국에서 사용하는 명칭으로 바꾸면서 중앙집권적 개혁을 추진합니다. 왕이라는 호칭은 문무왕 때부터 사용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이차돈의 순교를 기점으로 불교를 국교로 들이면서 종교를 이용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시기를 거치다보니 건국부터 단일 왕권을 가졌던 고구려나 백제보다 초기에는 발전이 더뎠던 것으로 보여집니다.

      가장 늦은 시기에 중앙집권적 국가체제를 갖추었으나, 국력이 약했지만 외교력이 강했고, 이에 외교를 통해 국가의 위기를 넘기면서, 뒤로는 국력을 키워갔습니다. 그렇게 100% 삼국의 통일을 이루지는 못하였어도 당시 고구려, 백제, 신라의 3국 중 가장 마지막에 남아 한반도를 차지한 국가였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가 성립된 곳은 경주의 평야 지대로 한반도의 동남쪽에 치우쳐 있었어. 따라서 신라는 중국의 선진 문물을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았어. 여기에 신라는 박씨, 석씨, 김씨 세 부족을 비롯한 6개 부족이 연합하여 이루어진 나라여서 국가 통합이 늦을 수밖에 없었지.


      이런 신라가 중앙 집권 국가로 탈바꿈한 것은 4세기 후반 내물왕 때였어. 이때 신라는 각 지역의 부족장들을 경주로 들어오게 하여 중앙 귀족화시켰고, 진한의 여러 나라를 정복하여 낙동강 유역까지 영토를 확장했어. 그리고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도움을 받아 왜군을 격퇴하였으며, 김씨의 왕위 세습권을 확립하였지. 또한 왕의 명칭도 대군장이라는 뜻을 가진 마립간1)으로 바꾸었어.

      출처 : 장콩 선생님과 함께 묻고 답하는 한국사카페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