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산부인과

검소한담비26
검소한담비26

항상 생리전 갈색냉이 나오는 사람은 임신해도 갈색냉 나오나요 ?

성별
여성
나이대
35

생리 2일전 쯤에 항상 갈색냉이 조금 나오는데요

그런사람이 임신을 하면 임신한 달에는

갈색냉이 안나올 확률이 높나요.?

아니면 나올확률이 높나요?

(병원가보니.

건강에 이상이 잇지 않다고 하더라구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갈색 냉은 소량의 혈액이 자궁에서 천천히 배출되면서 산화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보통 생리 전 프로게스테론 감소로 인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임신시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이 유지되면서 생리가 멈추게되므로 기존의 생리 전의 갈색 냉 패턴이 사라질 수도 있습니다. 다만 착상혈이나 자궁경부 변화, 호르몬 영향 등으로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생리 전에 갈색 냉이 보이는 것은 일반적으로 자궁 내막의 작은 부분이 탈락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거나 피가 약간 섞여 나온 것일 수 있어요. 임신이 되면 호르몬 변화로 인해 생리 주기의 변화가 생기는데, 이에 따라 갈색 냉의 패턴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임신 초기에는 착상혈이라는 형태로 약간의 갈색 냉이 보일 수 있지만 이는 모든 임신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아니에요. 또한 임신한 경우 생리 주기와 관련된 갈색 냉이 사라질 수도 있고, 개인의 체질에 따라 계속될 수도 있습니다. 갈색 냉의 발생 여부는 각자의 몸 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경향을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질문자분이 병원에서 건강에 이상이 없다는 진단을 받으셨다니 안심이 되셨을 거라 생각해요. 임신을 계획하고 계시다면 혹시 다른 궁금증이 생기시면 주치의와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얻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생리 전 갈색 분비물이 나오는 현상은 많은 여성들이 경험하는 일이며, 이는 대개 자궁 내막에서 나오는 적은 양의 피가 공기와 접촉하면서 산화되어 생기는 것입니다. 병원에서 건강에 이상이 없다고 했다면, 이는 정상적인 범주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임신 초기에 갈색 분비물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 궁금하실 텐데요. 임신했을 때 갈색 분비물이 나올 수도 있고, 나오지 않을 수도 있으며,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임신 초기에는 착상혈이라고 불리는 갈색 또는 분홍색의 가벼운 출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임신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자궁 내벽에 수정란이 착상되면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임신 초기에 이러한 증상을 경험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생리 전과 같이 갈색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는 각자 다를 수 있습니다. 임신 중 변화는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자신의 몸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임신을 할 경우 생리가 더 이상 생기지 않기 때문에 생리 전 나오던 갈색냉은 보이지 않을 것을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생리 전 갈색냉은 일반적으로 자궁 내막에서 떨어져 나온 오래된 혈액이 배출되면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생리 주기의 일환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건강에 이상이 없다면 생리 전 갈색냉은 큰 문제는 아닙니다. 임신한 경우에도 소량의 갈색냉이 나타날 수 있어요 이는 착상혈이라고 불리는 현상으로,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될 때 자궁 내막에 약간의 출혈이 생겨 나타날 수 있죠

    따라서, 임신을 하더라도 갈색냉이 나올 가능성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임신 초기에는 착상혈로 인한 갈색냉이 있을 수 있으며, 생리 전처럼 반복적으로 나오는 갈색냉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임신 초기에는 생리 전처럼 계속 갈색냉이 나오는 경우는 적은 편이구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혹시 임신이 의심되면 임신 테스트나 병원 방문을 통해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