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갑자사화 때 한명회가 부관 참시 됐는지요?
한명회는 훈구고
사림이랑은 반대파잖아요? (훈구VS 사림)
근데 갑자사화때 내용 보면
한명회도 부관참시 당하고, 성종 때 양성된 사림도 대부분 몰락한다는 내용이 있는데
한명회(훈구)와 사림 중 둘 중 한 팀만 몰락해야하는거 아닌가요?
그 전까지 왕들보면 대부분 한팀만 몰락하던데..
왜 두 파를 다 죽이나요?
연산군은 그냥 누구 파인가 상관없이 그냥 다 죽인 셈인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갑자사화(1504, 연산군10)는 훈구와 사림파 중심의 부중 세력이 궁중세력에게 받은 정치적 탄압 사건을 말합니다. 연산군의 생모 윤씨의 폐비와 복위 반대 선비를 훈구, 사림 가리지 않고 대대적으로 처형했습니다.
그 가운데, 한명회는 이미 1487년 사망하였지만 폐비 윤씨 페출 사건을 막지 않은 책임이 있다고 하여 정창손 등과 함께 12간의 한 사람으로 지목되어 관작을 추탈당하고, 무덤에서 시체를 부관참시되어 시체를 토막내어 한양 네거리에 내 걸렸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갑자사화는 폐비 윤씨 사사사건이 배경으로 사림파, 훈구파 모두 몰락합니다.
당시 폐비윤씨의 사사를 찬성하거나 방관한 훈구대신 중 하나인 한명회도 죄인으로 지목되어 부관참시됩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갑자사화 때에는 훈구파와 사림파에 관계없이
두 파 모두 엄청난 숙청을 당하는 등 하였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