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검사나 치료중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부작용 사례가 있나요?
병원에서 검진이나 치료중 방사선으로 검사나 치료를 받을 때, 그 과정 중에 여러가지 부작용 사례가 발생할 수있는데, 어떤 사례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방사선 검사의 경우 ct는 방사선 피폭량이 많은 경우가 있어 방사선에 의한 암 발병등의 위험성이 존재 하지만 진단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경우에만 시행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방사선 치료는 높은 농도의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세포를 사멸 하거나 증식을 줄이기 위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방사선에 노출되기 때문에 병소 조직 뿐만이 아니라 정상적인 조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방사선으로 인해서 얻을 수 있는 위해보다 병을 치료하면서 생기는 이득이 더 크다면 방사선 치료를 하게 됩니다
방사선 검사 및 치료 과정에서는 여러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X-ray, CT 등 방사선 노출이 있는 검사의 경우 피폭에 의한 발암 위험이 있으나 그 위험도는 매우 낮은 편입니다. 조영제 사용 시 알레르기 반응, 신장 기능 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MRI 검사 시에는 폐쇄공포증으로 인한 불안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방사선 치료 중에는 피부 손상, 피로감, 구역,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장기 부작용으로는 이차암, 심장질환, 호흡기질환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방사선 조사량, 치료 부위, 개인의 신체 상태에 따라 다양합니다.
답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조언으로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만약 그렇다면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면 앞으로도 이런 건강 상담을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방사선 검사는 일반적으로 안전하지만, 일부 엑스레이와 CT 스캔은 적은 양의 방사선을 사용하므로 반복적인 노출이 있을 경우 잠재적인 위험이 있습니다. 엑스레이와 CT 스캔의 방사선 노출은 낮은 수준이지만, 장기적으로 반복되면 암 발생 위험이 약간 증가할 수 있습니다. MRI는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이런 위험은 없지만, 조영제를 사용하는 경우 알레르기 반응이나 신장 기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는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합니다.
방사선 치료는 암 치료를 위한 고에너지 방사선을 사용하므로 부작용이 더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피로, 피부 반응(홍반, 건조, 가려움, 벗겨짐 등), 탈모, 장기 손상 등이 있습니다. 치료 부위에 따라 부작용이 다르며, 예를 들어, 두경부에 방사선 치료를 받을 경우 구강 점막염, 구강 건조증, 맛 감각 변화, 치아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흉부 방사선 치료는 폐와 심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호흡 곤란, 기침, 폐섬유증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복부나 골반 부위에 방사선 치료를 받을 경우 구토, 설사, 복통, 생식기 기능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방사선에 과도하게 자주 노출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있으나, 필요시에 의사의 판단하에 검사사 이점이 더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검사를 받길 권합니다.
방사선 치료시 부작용으로 피로감, 구역구토, 식욕부진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신 경우 '👍 ' 눌러주길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