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자격증

사회복지사 자격증

알뜰한참매216
알뜰한참매216

발달지연은 장애가 심해졌다 약해졌다를 되풀이하는 기복인가요? 다시 발달이 늦어지는 길로 가는 장애인가요?

발달지연이라면 어느 특정 질환 또는 장애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하는 나이에 이루어져야 할 발달이 성취되지 않은 상태로 해당 연령의 정상 기대치보다 25%가 뒤쳐져 있는 경우가 많잖아요.

예를 들어서 자폐성장애인 남성 조태성이나 지적장애인 여성 황은정이 어릴 적에 발달장애가 없이 건강했는데 나이를 먹어도 청소년기에 갑자기 말이 어눌해지고 기복이 심해졌죠.

발달지연은 장애가 심해졌다 약해졌다를 되풀이하는 기복인가요?

아니면 나이를 먹어도 다시 발달이 늦어지는 길로 가는 장애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

    발달지연은 장애가 아닙니다.

    즉, 그 발달적 상황이 느릴 뿐 병적으로 안 좋은 부분은 아닙니다.

    발달지연이 있다 라면 아이의 발달적 상황을 고려하여 아이의 체질에 맞게, 아이의 기질에 맞게, 아이의 수준을

    고려하여 아이의 발달적인 부분을 도와주어야 합니다.

    아이의 발달지연은 앞서 언급했듯 느려서 이고,

    이는 부모님의 적절한 대처가 미흡함이 커서 이기도 합니다.

    부모님의 적절한 대처로 도움을 준다면 아이의 발달은 느려도 일상생활을 생활하는데 있어서 큰 어려움을 겪지 않는

    부분이 크겠습니다.

    1명 평가
  • 발달 지연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발달 궤적이 정상 기대치에서 벗어난 상태를 의미합니다.

    발달의 속도나 질이 연령에 맞지 않게 뒤쳐진 상태를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

    발달지연은 특정 질환이나 장애명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연령에서 기대되는 발달과업인 언어, 운동, 인지, 사회성 등을 충분히 성취하지 못한 상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정상 기대치보다 25% 이상 뒤처진 경우 발달지연으로 간주되는데요. 기복처럼 보일 수 있지만 본질적으로는 발달의 속도나 질이 지속적으로 지연되거나 정체되는 경향이라고 보면 됩니다. 일부 아동은 특정 시기에 발달이 빠르게 진행되다가 다시 느려지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환경적 요인, 스트레스, 질병, 뇌 발달의 변화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데요.

    예를 들어 청소년기에 갑자기 언어가 어눌해지거나 사회성이 저하되는 경우는 기존에 잠재되어 있던 발달장애가 더 뚜렷하게 드러나는 시기인 것입니다. 발달지연은 다시 늦어지는 길로 가는 장애인가 하셨는데요. 그럴 수 있는 것이 자페 스펙트럼이나 지적장애처럼 신경발달장애의 경우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하거나 잘 드러나지 않다가 발달 요구가 높아지는 시기인 학교 입학, 사춘기에 명확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 편입니다. 다시 늦어진다라기 보다 발달의 어려움이 점점 더 복작한 과업에서 드러나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일부 기복처럼 보일 수 있지만, 본질은 지속적인 지연 또는 정체이구요. 발달 요구가 높아질 수록 기존의 어려움이 뚜렷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장애의 진행이라기보다는 발달 과업의 복잡성에 따른 증상의 가시화라고 하겠습니다. 발달지연에 대해서는 부모가 적극적을 개입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아이와 많이 놀아주는 뒤집기, 기기 연습, 다양한 촉감놀이인 오감 자극, 놀이를 통한 균형 감각 훈련인 트램펄린, 터널 놀이 언어발달로 자주 말 걸어주기인 반복해서 말해주기, 이야기 들려주기의 그림책 읽어주기, 스스로 표현할 기회 주기인 아이의 말을 기다려주기 등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용 사회복지사입니다.

    발달 자체가 늦어지는 것입니다. 심해졌다 약해졌다는 그날의 컨디션에 좌우되는듯 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