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Bevet
Bevet

사람은 언제부터 실내의 화장실을 썼을까요

사람이든 동물이든 원래 본능적으로 자기 생활권 안에서 배변 배뇨를 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릴 때부터 집이라는 건물에서 거주 그래서 화장실이 늘 집안에 있는 게 익숙해져서 잘 몰랐습니다

사람은 언제부터 집 그래서 화장실을 설치하여 용변을 볼 수 있었을까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실내에서 화장실을 처음 쓴 건 고대로마시대였습니다. 고대로마시대부터 하수도 시설이 존재했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정에서 화장실을 사용하는 것은 인류 역사상 비교적 최근의 발전입니다.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야외 화장실이나 다른 형태의 공동 시설을 사용해 왔습니다. 현대식 수세식 화장실은 19세기에 발명되었으며 20세기에 더 널리 채택되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도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기본적인 위생 시설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심각한 건강 및 환경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인류는 예로부터 용변을 처리하는 방법을 개선해왔습니다. 고대 시대에는 우물이나 강 등 자연을 이용하여 배변을 처리했으며, 로마 시대에는 공중 화장실이 등장하여 대중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중세 유럽에서는 성으로 둘러싸인 작은 마을이나 도시에서 공중 화장실을 사용하였습니다.

      하지만, 실내 화장실이 등장한 것은 상대적으로 최근의 일입니다. 19세기 중반부터 유럽에서 볼 수 있는 실내 화장실은 상류층의 건물에서만 사용되었으며, 대중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초반부터였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려시대에는 성곽 안에 공중 화장실이 있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왕실이나 상류층의 가옥에서는 화장실이 있었지만, 대다수의 일반 가정에서는 마당이나 정원 등 야외에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그러나, 근대화의 과정에서 도시화와 함께 집안에 화장실이 보급되었습니다.

      요약하면, 실내 화장실은 상대적으로 최근의 발명으로, 19세기 중반부터 유럽에서 보급되기 시작했으며, 대중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초반부터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서양 유럽에는 르네상스 시대에 들어서야 지금의 도기로 된 수세식 비슷한 화장실이 생겼습니다. 우리나라는 조상들이 아주 똑똑해서 조선시대에 이미 화장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일제감정기 때 완전 현대와 거의 비슷한 화장실이 등장했구여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의 경우 아키타 성내의 수세식 화장실 유적 등 고대로부터 화장실 문화가 발달했는데 막부시대부터 상류층의 화장실은 실내에 별도로 만들어진 다다미방에 있었습니다.

      근대 이전 중국의 고위층일수록 법도가 엄격하여 화장실은 남자만 쓸수 있었고 동북쪽 귀퉁이에 작은 화장실이 있었으며 여자들은 절대 화장실에 가지 않는 대신 나무나 함석으로 만든 마통이라는 요강을 두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