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내과

정중한두꺼비181
정중한두꺼비181

고지혈증과 믹스커피 상관있나요?

일상생활을 하면서 많은 직장인들이 커피를 마시는데요~

보통 아침에 출근해서 믹스커피 한잔마시고, 점심먹고 한잔,마시구요 , 간간히 저녁에도 한잔씩 마시기도 합니다. 출근하면 더 많이 마셔요~ 근데 믹스 커피에 있는 프림이 고지혈증을 유발 할까요? 아메리카노가 좋겠지만 입맛에 맞지 않습니다.

검진에서 LDL 수치가 좀 높게 나왔어요 정상범위 보다 더 높게 입니다. 그런 경우 예방목적으로 고지혈증 약을 먹어야 하나요? 30대 중반 이면서 다른 기저 질환은 없으며 비만도 아닙니다. 운동으로 관리를 해야 하나요? 커피를 끊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믹스커피에 들어있는 프림은 유지방이 있으므로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올 릴수있습니다.고혈압이나당뇨병.등위험요인이있으면LDL 140이상시 위험인자가 없다면 160이상시 약처방추천합니다.운동도 하시고 믹스커피도 줄이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고지혈증은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그리고 흔히 나쁜 콜레스테롤이라고 불리는 LDL 콜레스테롤이 높은 경우를 통칭합니다.

     고지혈증의 원인은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음식 (고지방 음식, 정제된 탄수화물 섭취)을 많이 드시거나 과음, 체중 증가 등 생활습관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영향으로 체내에서 콜레스테롤을 많이 생성해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믹스커피의 경우 포화지방과 과량의 설탕이 함유되어 있어 가급적 섭취 횟수를 줄이시거나 아메리카노로 바꾸어 드시길 권유드립니다.

    고지혈증과 더불어 고혈압, 당뇨 모두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가족력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콜레스테롤이 높더라도 개인이 느끼는 증상은 없습니다. 이 때문에 고지혈증을 가지고 계심에도 불구하고 모르고 계시거나 치료를 받지 않고 지내시는 경우도 흔합니다.  콜레스테롤이 높은 것 자체도 문제가 될 수 있으며, 그 보다 조절되지 않은 상태로 콜레스테롤이 수년 이상 지속될 경우 신체 각 기관에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뇌출혈, 뇌경색, 심근경색, 신장질환 등). 따라서 합병증이 생기지 않도록 적정 콜레스테롤 수준을 유지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콜레스테롤을 조절하기 위한 생활습관교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탄수화물 및 고지방 음식을 줄이는 식사

     정제된 탄수화물 (빵, 떡, 국수와 같은 밀가루 음식)이나 포화지방이 많이 함유된 음식 (비계, 곱창 등)은 콜레스테롤을 높이고 혈당 수치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과일 음료나 탄산음료 섭취는 삼가시고 믹스 커피를 즐겨드신다면 이를 줄이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식물성기름 (콩기름, 들기름, 올리브기름)이 동물성 기름보다 유익하며 음식은 가급적 튀기지 않고 찌거나 삶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잡곡, 해조류, 채소, 과일껍질 같은 식이섬유를 많이 드시고 잡곡이나 현미, 통밀과 같은 통곡식품이 백품보다 도움이 됩니다.

     채소와 콩류, 생선류, 과일류, 유제품의 식품군을 골고루 섭취하는 식사가 좋습니다.

     2) 주 150분 이상의 유산소 운동

     숨이 약간 찰 정도 이상의 강도로 주 150분 (1일 30분시 주 5일, 1일 50분시 주 3일) 이상 빠르게 걷기, 조깅, 수영 등과 같은 유산소 운동을 하시고, 몸이 익숙해지면 주 1~2회 추가로 근력운동을 권장드립니다.

     3) 금연과 절주

     흡연자시라면 금연이 장기적으로는 만성질환의 위험인자를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음주 (함께 드시는 안주)는 혈당과 중성지방을 상승시킬 수 있어 주 2회 이하, 1회 5잔(남성) 3잔(여성) 이하로 드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4) 체중감량 등이 콜레스테롤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더불어 가족력이 중요한 위험인자 이므로 위에서 말씀드린 생활습관 교정 이외에도 3~6개월 마다 정기적인 추적검사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콜레스테롤이 높게 나온 것은 음식이 큰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문의 주신 믹스 커피로 인해 생기는 현상은 아닐 가능성이 높지요. 오히려 믹스 커피 안의 설탕이 중성지방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만약 LDL이 높으나 약을 드실 정도가 아니라고 하면 운동, 체중 조절, 고지방식을 피하는 생활 습관 조절로 관리를 해볼 수가 있습니다. 만약 수치가 160이상이라면 약물 치료를 하는 것이 필요하답니다.

    서민석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지질이상혈증 (고지혈증)으로 문의주셨습니다.
    고지혈증은 각종 심혈관계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어서 약물을 복용하며 조절하시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우리가 시력이 안좋으면 안경의 도움을 받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약으로 콜레스테롤 조절의 도움을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적절한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이 필요합니다.
    비만이라면 체중을 줄여야 하며, 섭취하는 지방량을 총 섭취 칼로리의 30%이하로 제한해야 합니다.
    또한 탄수화물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할 경우 중성지방이 증가하고 HDL-콜레스테롤(좋은 콜레스테롤)은 감소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고지혈증 약물 (statin)도 꾸준히 섭취하며 주기적으로 콜레스테롤 수치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늘 건강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