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오늘배움
오늘배움

배당수익률은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오늘도배웁니다.

연말이 되면서 주식 배당에 대한 이야기가 자주 나옵니다.

'배당수익률'을 많이 이야기 하는데 '배당수익률'은 어떻게 계산하는지 궁금합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오늘도 배우려는 자세가 정말 멋지네요. 😊
    '배당성향'에 대해 간단하고 쉽게 설명드릴게요.

    1. 배당성향이란?

    배당성향은 기업이 순이익 중에서 주주들에게 배당으로 얼마나 돌려줬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즉,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 중 몇 %를 배당으로 지급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한 회사가 1억 원의 순이익을 냈고, 그중 3천만 원을 배당으로 지급했다면, 배당성향은 30%입니다.

    2. 배당성향 계산 방법

    배당성향은 아래와 같은 공식으로 계산합니다:

    배당성향 (%)=(배당금 총액순이익)×100\text{배당성향 (\%)} = \left( \frac{\text{배당금 총액}}{\text{순이익}} \right) \times 100

    • 배당금 총액: 주주들에게 실제로 지급한 배당금의 합계.

    • 순이익: 회사가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 (세후 이익).

    3. 배당성향이 의미하는 것
    • 높은 배당성향

      • 회사가 이익의 큰 부분을 주주들에게 돌려주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안정적인 회사이거나 성장이 제한적인 경우 배당성향이 높을 수 있습니다.

      • 너무 높은 배당성향(예: 100% 초과)은 회사가 이익 이상으로 배당금을 지급해 장기적 성장을 희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 낮은 배당성향

      • 회사가 이익을 배당보다는 재투자에 활용하려는 의도를 의미합니다.

      • 성장 가능성이 높은 회사(예: 기술 기업)들은 배당성향이 낮거나 아예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예시
    • A 회사: 순이익 10억 원, 배당금 총액 2억 원

      • 배당성향 = 2억10억×100=20%\frac{2억}{10억} \times 100 = 20\%

      • A 회사는 이익의 20%를 주주들에게 배당금으로 지급했네요.

    • B 회사: 순이익 5억 원, 배당금 총액 5억 원

      • 배당성향 = 5억5억×100=100%\frac{5억}{5억} \times 100 = 100\%

      • B 회사는 이익 전부를 배당금으로 지급했습니다.

    5. 참고할 점
    • 배당성향은 주주에게는 매력적인 지표이지만, 너무 높은 배당성향은 회사의 재투자 여력 부족을 나타낼 수 있으니 주의 깊게 봐야 합니다.

    • 업종이나 기업의 성장 단계에 따라 배당성향이 크게 다를 수 있습니다.

    배당성향에 대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배당수익률은 현재 주가 대비 배당금이 몇퍼센트인지 계산하면 도출을 할 수 있습니다

    • 주식의 가격이 백만원일 때 만원을 배당으로 지급하면 배당수익률은 1%입니다.

    • 이는 배당을 언제 결의하는지에 따라 배당율이 바뀌는데 그 이유는 주가가 계속 변경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배당수익률은 (배당금 / 주식의 현재가격) *100 으로 구합니다.

    배당을 1,000원 해주는 주식의 현재가가 10,000원이라면 (1,000/10,000)*100 = 10% 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수익률은 주식 투자에서 배당금이 얼마나 수익을 내는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계산 방법은 간단하며, 주당 배당금을 현재 주가로 나눈 후 100을 곱하면 됩니다. 공식으로 표현하면 배당수익률 = (주당 배당금 ÷ 현재 주가) × 100입니다.

    예를 들어, 한 주당 배당금이 1,000원이고 현재 주가가 20,000원이라면, 배당수익률은 (1,000 ÷ 20,000) × 100 = 5%가 됩니다. 이 수치는 해당 주식이 얼마나 높은 배당 수익을 제공하는지 가늠하는 데 유용합니다.

    다만, 배당수익률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좋은 투자처는 아닙니다. 주가 하락으로 인해 수치가 높아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당수익률뿐만 아니라 기업의 재무 상태와 성장 가능성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