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충분히마른마멋
충분히마른마멋

미국 소비 및 실업 지표가 잘 나왔다고 하는데 지수가 빠진 이유는 무엇일까요?

미국의 소비 및 실업 지표가 잘 나왔다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미국 지수 또한 많이 오를 것 같았는데요.

생각외로 오르지 못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해당 지표가 지수를 올려주는 근거가 될 것 같았는데

상승을 못한게 아쉽기도 하고 궁금하네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 증시와 같은 경우에는 아무래도

    소매 및 실업지표 등이 어느정도 잘 나왔으나

    이미 선반영되기도 하였고 올해 워낙 많이 오른만큼

    단순히 위 지표들이 잘나왔다고 무조건 상승만은 할 수 없는 등

    그렇기에 소폭 상승한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소비 및 실업 지표가 잘 나왔지만 지수가 빠진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소비자 물가 및 실업 지표가 잘 나오면 금리 인하가 미뤄지거나 취소가 되기에

    주식 지수는 되려 반대로

    빠지게 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장에서는 경기 침체 우려를 덜어냈다는 안도감과 함께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가 재점화되면서 미국 증시 전체가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추가적으로 11월 FOMC에서 기준금리 인하가 아닌 동결할 것 같다는 의견도 늘어나 증시를 끌어내린 이유도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민선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소비 및 실업 지표가 긍정적으로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하락하는 이유는 강한 경제 지표가 중앙은행(Fed)의 추가적인 금리 인하 가능성을 낮추기 때문입니다.

    경제가 예상보다 잘 돌아가면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위해 Fed가 금리를 더 오래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금리 인상은 기업의 차입 비용 증가와 소비 감소를 초래할 수 있어, 주식 시장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현재 미국의 증시는 이미 사상최고가를 달리고 있고 이전 실업률 지표가 좋게 나왔을 때

      상승반영을 한 상황입니다

    • 미국 대선전까지 폭등이 있다기 보다는 완만한 상승을 이어갈 전망입니다

    • 지금도 버블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는데 여기서 더 상승하게 되면 오히려 투자자들의 대응이 소극적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국의 소비와 실업 지표가 긍정적으로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주요 지수가 크게 오르지 못한 이유는 인플레이션 우려와 금리 인상 가능성 때문입니다.

    소비 증가로 경제가 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이는 물가 상승 압력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물가가 오르면 연준이 금리를 더 올리거나 높은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커지는데, 금리가 높아지면 기업의 대출 비용과 소비자 부담이 늘어나면서 기업 이익이 감소할 수 있어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이런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로 투자자들은 신중해지면서 지수 상승이 제한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소비와 실업 지표가 긍정적으로 나왔음에도 지수가 오르지 않은 이유는 경제 지표가 좋게 나오면 연준이 금리를 더 오래 높은 수준에서 유지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금리 인상 우려를 반영하여 주식시장에 신중하게 접근한 것으로 보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소비와 실업 지표가 긍정적으로 발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수가 크게 오르지 못한 이유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좋은 경제 지표가 발표되면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더 오랫동안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금리가 높아지면 기업 비용이 증가하고 소비가 둔화될 수 있어 주식시장이 부담을 느낍니다. 둘째,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나 지정학적 리스크 등이 여전히 주식시장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어 긍정적인 경제 지표만으로는 즉각적인 상승을 이끌어내기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