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씨향약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우리민족은 일찌기 향약이 발달하였다..
지역사회의 상호부조의 큰 역할을 수행해 왔습니다. 여씨향약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1세기 초의 중국 북송 때 향촌을 교화선도하기
위해 만들었던 자치적인 규약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산시성 란톈현 여씨 문중에서 도학으로 이름높던 대충, 대방, 대균, 대림 4형제가 문중과 향리를 위해 만든 것으로
좋은 일을 서로 권장한다, 잘못을 서로 고쳐준다, 서로 사귐에 있어 예의를 지킨다, 환난을 당하면 서로 규제한다로 되어있습니다.
이 향약은 그 뒤 주자에 의해 약간의 수정이 가해져 주자증손여씨향역이 만들어졌으며 한국에서는 1517년 중앙정부의 명령으로 각 지방장관에 의해 여씨향약이 인출 광포되었고 이를 토대로 이황은 예안향약, 이이는 서원향약을 만들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 북송(北宋) 때 향촌을 교화•선도하기 위하여 만들었던 자치적인 규약. 섬서성(陜西省) 남전현(藍田縣) 여씨 문중에서 만들었으며, 뒤에 주자(朱子)에 의해 약간의 수정이 가해져 ≪주자여씨향약(朱子呂氏鄕約)≫이 만들어짐. 조선 중종 12년(1517)에 중앙 정부의 명령으로 각 지방관에 의해 전국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이황의 ≪예안향약(禮安鄕約)≫, 이이의 ≪서원향약(西原鄕約)≫이 만들어짐.
출처 : 한국고전용어사전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경상도 관찰사 김안국은 도민의 풍습을 바로잡기 위해 정속언해와 이륜행실도 등의 서적과 함께 여씨향약언해를 언해하여 편찬하였는데 여기서 향약이란 향촌규약(鄕村規約)의 준말로서 각 지방에 유교적 예속을 보급시키고 농민들의 공동체를 결속시키기 위한 규약이라 할 수 있습니다.
출처: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