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가 국내에서 실패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통신망이 실패한 이유는 무엇으로 볼 수 있나요? 통신망이 구축되지 않은점, 그리고 그 외에 어떠한 원인이, 실패로 이어진건가요?!6g는 이러한 요인을 보완해서 나오는 걸로 봐야 하는지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5G가 국내에서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는 가장 큰 이유는 작성자님 말씀처럼 통신망 구축이 미흡했다는 점입니다. 초고속 인터넷을 위한 28GHz 대역 기지국의 설치가 많이 미흡했었고, 실내외 음영 지역이 많아서 실제 이용자들이 제대로 된 5G 속도를 체험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두번쨰로, 과장광고의 영향도 있습니다. 통신사들이 실제 환경에서는 불가능하고 이론상으로 최대 속도인 20Gbps를 홍보하면서 실제 사용자들이 오해하게 만들었고, 실제 속도는 0.8Gbps밖에 안되었기 때문입니다. 또, 실제 성능에 비해 너무 높은 가격대가 5G를 실패로 인지하게 되는데 기여하였습니다.
따라서, 6G는 이런 5G의 실패를 보완해서 완전히 새로운 망을 설치하고 구축하는게 아니라, 기존 5G망을 최대한 업그레이드해서 활용하는 진화적 방식으로 효율적인 망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5G에서 겪었던 28GHz 대역 투자 실패같은 문제를 보완할 수 있을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5G의 가장큰 실패요인은 개인적으로 LTE와의 뚜렷한 성능적 차이를 소비자가 느끼지 못한점이라고 봅니다. 이외에 금액적으로도 LTE와 큰 차이를 보였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국내 5G는 초기 기대와 달리 기지국 부족과 불균형한 커버리지 고주파 애역 활용 실패 그리고 실질적 킬러서비스 부재로 인해 체감 성능이 낮았습니다 통신사들이 인프라 구축을 미루면서 속도와 안정성이 4G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실패를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
5G가 실패했다고 말하는 이유는 기술 한계 보다 비지니스 투자 문제에 가깝습니다. 그 이유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인프라 부족 : 초고주파수(28GHz) 기지국 구축 비용이 커서 전국망 확충 실패
체감 성능 한계 : LTE 대비 속도 지연 개선이 미미
킬러 서비스 부재 : 자율 주행, XR 등 상용 서비스가 실제로 자리 잡지 못함
수익 구조 미비 : 기업용 산업용 모델이 늦어 통신사 투자 의욕 저하
5G 실패는 기술보다 투자와 서비스 부족이 문제이고 6G는 이를 보안해 실질적 성능 산업 연계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5g가 실패한 이유는 결국 보급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기지국의 건설이 전국적으로 되지 않고, 일부 수도권 지역에만 되었는데, 이러한 지방사람들은 속도의 문제를 체감하지 못해서 5g 가입을 하지 않았고, 비싼 요금제를 쓸 필요가 없어서, 요금제 자체에 대한 수요가 없어졌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wifi 등의 보급으로 인해 빠른 유료 데이터 요금제 자체가 필요성이 떨어진 것도 큽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5g가 국내에서 실패한 이유는 이런 초고주파수 대역대에 대해서 실제 사용되는 인프라는 그 초고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상황에서 도입되었습니다. 그리고 초코주파수의 경우 멀리 데이터를 보내지 못하고 전송중 감쇠되는 부분도 있어서 기지국이 더욱 설치 되어야합니다. 먼저 이런 인프라가 먼저 된 후에 되어야하는데 적용하고 인프라를 하니깐 문제가 되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6g의 경우 인프라 국축을 진행하면서 기지국도 많아 지고 또 전송 데이터를 기지국과 위성을 통해서 사용함으로 인해서 한곳에 몰리거나 하지 않도록 인프라도 구축해서 잘 적용될것으로 추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