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빙하기때 네안데르탈인이 생존을 못하고 왜 멸종햇을까요

빙하기때 네안데르탈인이 생존을 못했다고 하는데요 이시기때 결국 적응에 실패하고 멸종의 시기로 빠지게된 근본적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사피엔스종들은 서로 옷을나누고 음식을저장하고 나누며 여러위기에서 살아남았다고합니다.

    반면 네안데르탈인은 구성하는 사회의 크기가 크지않아 상대적으로 멸종하는종이많았고 몸집도커서 그 몸집을 유지하지못해 먼저 멸종했다고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네안데르탈인 사회는 크지않고 서로 연대하는힘이 사피엔스보다 약했다고합니다.

    사피엔스는 주거공간을만들고 협력해서 식량을공유하며 기후변화에 맞설수있었지만, 네안데르탈인은 그렇지못했다고합니다.

  • 사실 아직 정확히 알지 못합니다. 그렇다보니 여러가지 가설들이 있습니다.

    • 현생인류와의 경쟁

    현생인류는 네안데르탈인보다 더 효율적인 도구를 사용하고 사회적 네트워크가 발달하여 자원 획득 능력이 뛰어났습니다. 이는 먹이 경쟁에서 보다 유리한 위치를 점하게 만들었고, 결국 네안데르탈인의 생존을 위협했을 것입니다.

    • 기후 변화

    빙하기 시대에는 급격한 기온 변화가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생태계가 불안정해졌습니다. 네안데르탈인은 이러한 기후 변화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기온 변화는 식량 자원의 감소를 야기하여 네안데르탈인의 생존을 위협헸을 것으로 추정되며 겨울철 식량 확보는 더욱 어려웠을 것입니다.

    • 질병

    현생인류와의 접촉을 통해 네안데르탈인에게 새로운 질병이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네안데르탈인은 이러한 새로운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부족하여 집단 면역력이 붕괴되었을 수 있습니다.

    • 유전적 다양성 감소

    네안데르탈인은 비교적 소규모 집단으로 생활했기 때문에 유전적 다양성이 낮았습니다. 이는 환경 변화나 질병에 대한 적응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입니다.

    • 혼혈

    일부 연구에서는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 사이의 혼혈이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적 특징을 희석시켜 멸종에 이르게 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네안데르탈인의 멸종은 단일한 원인보다는 위에 언급된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수 있습니다. 즉, 현생인류와의 경쟁이나 기후 변화, 질병, 유전적 다양성 감소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상호작용하며 네안데르탈인의 생존을 점차 어렵게 만들었고, 결국 멸종이라는 결과를 초래했을 것입니다.

  • 네안데르탈인은 빙하기 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멸종했는데, 그 이유는 자원 경쟁에서 현생 인류에게 밀렸고, 기후 변화로 인한 식량 부족과 낮은 번식률, 그리고 소규모 집단 생활로 인한 유전적 다양성 부족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기후 변화 및 이종교배가 원인으로 지목되었지만, 영향은 미미한 걸로 밝혀졌습니다. 현생 인류와의 자원경쟁에서 밀려서 멸종에 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네안데르탈인은 발굴과 연구가 진행될수록 현생인류와 거의 다를 바 없는 생활을 했던 것으로 밝혀지고 있지만, 약 4만 년 전 지구상에서 홀연히 사라졌는데요 그 원인을 놓고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악셀 팀머만 IBS 기후물리연구단장이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연구를 통해 이들이 사라진 원인을 현생인류와의 경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유럽과 시베리아 등에 널리 퍼져 살던 친척인류 네안데르탈인은 도구를 만들고 집단생활을 하며 장신구를 만드는 등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와 크게 다르지 않은 생활을 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약 4만 년 전 지금의 스페인 지역을 마지막으로 홀연히 지구상에서 자취를 감췄는데요 비록 일부는 현생인류와 가정을 이뤄 후손(현대인)의 게놈에 자취를 남겼지만, 대부분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그 이유를 놓고 현생인류와의 경쟁과 혹독하고 변덕스러운 기후 등 여러 가설이 대립했는데, 최근 국내 연구기관의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연구 결과 현생인류와의 자원 경쟁에서 밀려난 게 가장 큰 멸종 이유라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악셀 팀머만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연구단장은 옛 기후 데이터를 이용해 과거 환경을 복원하고 그 안에서 현생인류 및 네안데르탈인이 확산하는 과정을 모사한 수학 공식 모형을 만든 뒤 이를 IBS 슈퍼컴퓨터 ‘알레프’를 이용해 풀어 이 같은 사실을 밝혔으며 연구 결과는 지질학 분야 국제학술지 ‘신생대 제4기 과학 리뷰’에 발표됐습니다.

    팀머만 단장은 “그들이 현생인류 확산 시기에 사라진 것은 우연이 아니다”라며 “이번 시뮬레이션 연구로 네안데르탈인의 멸종이 우리가 행한 최초의 주요 멸종 사건이라는 사실이 분명히 드러났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연구를 확장해 식생과 기후변화를 이끈 더 상세한 요인, 문화 그리고 바이러스 등 병원체를 포함하는 새로운 모형을 연구중”이라며 특히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와 같이 현생인류가 10만 년 전 동물에게 옮은 바이러스는 높은 치명률로 네안데르탈인 인구수 감소에 기여했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네안데르탈인 환경 변화와 자원 부족에 적응하지 못해 멸종한것으로 추정 된다고 해요

    호모 사피엔스와의 경쟁에서 밀린것도 주요 요인이겟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네안데르탈인은 빙하기의 급격한 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했습니다. 동시에 현생 인류와의 경쟁에서도 열세였습니다. 결국, 환경 변화와 종간 경쟁이라는 이중고를 극복하지 못하고 멸종에 이르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