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해의 생물들은 어떻게 앞을 볼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깊이 1,000미터가 넘는 아주 깊은 바다는 캄캄할 뿐 아니라 온도도 매우 낮고 수압도 엄청나게 높은걸로 알아요~ 근데 심해의 생물들은 어떻게 앞을 보고 움직일수 있는건가요?
심해에서 사는 생물들은 극한의 환경에 살아가기 위해 특화된 적응 기능을 발달 시켰습니다. 어두운 환경에서 살아가기 위해 많은 심해 생물들은 자체적으로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주로 발광 세균과의 공생 관계를 통하거나 자체적인 화학반응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빛이 부족한 환경에서 예민한 후각이나 촉각을 가지고 있어 빛이 부족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시각 외의 감각을 발달시켰습니다.
심해생물들은 대부분 시각적 감각이 퇴화되어있어 먹이를 눈 바로앞으로 유인하거나 한번물면 놓지않도록 턱과 이빨이 매우 강하게 발달되어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즉, 앞을보고 움직이는것이 아니라 단순히 앞으로 헤엄치며 먹이나 짝짓기대상을 찾는것일 수 있고, 다른 감각기관을 통해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는것일수도 있습니다.
빛이 거의 없기때문에 시각감각을 활용하지 못합니다.
심해의 환경때문에 심해 생물들은 심해가 아닌 곳의 생명체들과는 다른 생존 전략이 필요합니다.
빛이 거의 없다는 점 때문에 심해 생물들은 적은 양의 빛조차 모으기위해 몸에 비해 눈이 매우 큰 종도 있고,
혹은 반대로 눈이 퇴화하고 파동이나 화학물질을 더 잘 감지할 수 있도록 발달하기도 했습니다.
또 스스로 빛을 내는 기관을 가지기도 하여 빛으로 먹이를 유인하기도 합니다.
심해는 대략 대륙붕이 끝나는, 즉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수심 200m보다 깊은 곳을 말하는데요, 바다 깊이 들어갈 수록 햇빛이 투과하지 못해 점점 광량이 줄어들고 수온도 낮아집니다. 이처럼 심해는 이처럼 빛이 없고, 수온이 낮으며, 수압이 높아서 생물들이 살기에 적합한 곳은 아니기 때문에 이곳에 사는 생명체들은 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체형이나 체색이 변화되어있습니다. 그 예시로 어스름한 빛이 존재하는 박광층에 사는 어류는 어두운 곳에서도 잘 보고 먹이를 찾기 위해 대개 큰 눈을 갖고 있으며, 반대로 빛이 없는 무광층에서는 빛이 없으니 볼 필요가 없어서 눈이 퇴화되었으며 다른 감각기관이 발달되어있습니다. 일부 생명체는 발광이 가능한 경우도 있고요.
시내에는 빛이 없기 때문에 심해 있는 생물들은 눈이 퇴화되어 있습니다.
눈으로 보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해수를 통해서 전달되는 진동이나 미세한 화학물질들을 탐지해서 자신이 있는 방향과 포식자나 피식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고 합니다.
심해 생물들은 극한의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진화해왔습니다. 어둠 속에서 앞을 볼 수 있도록 많은 심해 생물들은 발광 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자신의 몸에서 빛을 발생시켜 주변을 비추거나, 먹이를 유인하는 데 사용합니다. 또한 일부 심해 생물들은 매우 큰 눈을 가지고 있어, 미약한 빛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어떤 생물들은 빛을 감지하는 대신, 다른 감각 기관에 의존합니다. 예를 들어, 촉수나 측선과 같은 기관을 사용하여 주변의 움직임이나 압력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먹이를 찾고 위험을 피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적응 전략을 통해 심해 생물들은 극한의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