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 엔지니어의 전망성이 궁금합니다.
물론 순수 하드웨어뿐이 아니라 펌웨어까지 하는 엔지니어가 기술력을 갖춘다면 늙어서도 괜찮을까요? 타 분야대비 미래 전망성도 궁금합니다.안그래도 어느 한쪽은 하드웨어 엔지니어가 전망이 없다.누가 하드웨어를 하냐같은 소리를 해서 진짜 궁금해서 적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ai의 발달에 따라서 하드웨어의 주 업무인 하드웨어 설계등이 ai들이 더 많은 정보와 더 빠른 계산을 통해서 더욱 최적화된 설계가 가능하게 되면서 사실상 미래에는 하드웨어 엔지니어의 일이 없을 것 같아 보입니다. 하지만 지속적인 ai발전에도 지금의 하드웨어 엔지니어들과 협업진행이 필요해서 기본적으로 ai의 이해를 통하여 협업의 길이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하드웨어만 고집하기 보다는 ai등의 이해를 통해서 협업을 하는 하드웨어 엔지니어가 되어야 할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하드웨어 엔지니어의 전망에 대해 말씀드리면, 순수 하드웨어뿐 아니라 펌웨어까지 다룰 수 있는 기술력이 있다면 매우 긍정적입니다. IoT, 인공지능, 자율주행 등 최신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통합 설계 능력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산업용 IoT, 의료기기, 통신장비 등 새로운 분야가 확장되면서 하드웨어 엔지니어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기술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킨다면, 늙어서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타 분야에 비해 하드웨어 직군의 전망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며 전문성을 갖춘 인재는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하드웨어 엔지니어링은 계속해서 발전하는 기술 산업의 핵심 중 하나입니다. 특히 하드웨어와 펌웨어를 통합해 다룰 수 있는 기술력은 앞으로도 큰 강점이 될 것입니다. IoT, AI, 자율주행차 등 다양한 산업에서 하드웨어 엔지니어링은 없을 수 없는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타 분야와 비교했을 때, 하드웨어 엔지니어의 역할은 꾸준히 변화하고 혁신이 필요한 분야라 전망이 나쁘지 않습니다. 다만, 지속적인 학습과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적응이 필수적이라는 점은 유념해야 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서인엽 전문가입니다.
기본적인것은 하드웨어 (수리능력)뿐만아니라 펌웨어까지 조치하고 해결할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나이를 든 후에도 기술경쟁력이 있습니다. 물론 대우해주는 조건은 S/W 엔지니어가 조금더 좋습니다. 그러나 하드웨어 엔지니어의 희소성가치가 있을때는 그 가치는 매우 큽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모든분야의 장인 즉 경쟁력이 있다면 하드웨어 그리고 펌워어 엔지니어의 경쟁력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뛰어나답니다.
감사합니다.
전자회로를 기반으로 한 하드웨어 계통은 펌웨어뿐만 아니라, PCB기판도 설계할 수 있어야 그 계통에서 생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드웨어가 전망이 없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소리입니다.
전자제품 자체가 하드웨어인데, 전망이 없다는 것은 원시시대로 되돌아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하드웨어 엔지니어의 전망은 밝습니다. 특히 펌웨어까지 능숙하게 다루는 엔지니어는 더욱 높은 가치를 인정받습니다.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차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하드웨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모든 기술 분야가 그렇듯 끊임없는 학습과 기술 갱신이 필요합니다. 펌웨어까지 겸비하면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고 기술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인 직업이 될 수 있습니다.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요와 높은 연봉을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전문성을 갖춘 엔지니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력으로서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