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자산관리

사과는빨리하는게좋아요
사과는빨리하는게좋아요

예전에는 돈을 상당히 아껴쓰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지금은 돈을 너무 헤프게 쓰는사람들이 많은거 같아요

성별
남성

요즘 보면 예전보다 돈을 헤프게 쓰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 같아서 궁금한데요??

왜 이렇게 변화가 생긴 걸까요 ㅋ 경제 상황이 좋아졌거나 소비 문화가 달라진 건지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지 알고 싶어요 ㅎㅎ 그리고 이렇게 돈을 헤프게 쓰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어떤 영향이 있을지도 궁금하고요 ㅋ

우리 모두가 좀 더 신중하게 소비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ㅎㅎ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좀더 신중하게 소비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꼭 필요한 곳에 소비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선 내가 원하는 것, 내 기분에 따라 소비하는 것이 불필요한 것입니다.

    이런 소비를 원척적으로 금지하고

    생활에 필수적인 것에만 소비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코로나 당시에는 모두가 돈을 사용하는 욜로가 유행을 타며 보두가 돈을 헤프게 사용했었습니다.

    • 그러나 최근에는 다시 돈을 아껴서 생활하는 요노족들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 이들은 정말 나에게 필요한 소비만을 하면서 삶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트렌드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도 지배를 하면서 글로벌 경기 침체를 이끌었던 사례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몇년전부터 뉴스 나오던게 욜로 YOLO족 이라고 하죠 You Only Live Once의 약자인데요 인생은 오직 한 번뿐이라는 생각으로 아껴야 잘 산다가 아닌 지금이 현재에 쓰고 즐겨야 행복하다는 마인드로 돈 안모으고 사고 싶은거 사고 하고 싶은거 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사람 사는게 뭐 결국 자기 판단으로 사는거니 뭐라 할수도 뭐가 정답인지도 생각하기 나름이겠죠!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부 MZ세대가 어차피 결혼과 출산을 포기하고 남들을 의식하는 경향이 심해서 자신의 경제수준 보다 과도하게 헤픈 소비를 보여줬었으나, 다시금 재정신을 차리고 절약하는 분위기도 살아나고 있습니다.

    사치 소비가 늘어나면 경제는 성장하지 못할 수 있고, 신중하고 현명한 소비를 위해서는 가계부를 쓰면서 계획적인 소비를 하는 것이 도움됩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예전보다 오히려 저축을 해서 돈을 모아도 집을 

    사거나 결혼을 

    하기 힘든 상황이 되다보니 사람들이 

    상대적 박탈감 해소를 위해서 작은 소비는 무디게 하는 경향이 생겼습니다. 이런 현상은 장기적으로 봤을때 좋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SNS, 연예인,부자집 예능으로 인한 비교문화입니다.

    SNS에서 각종 명품,차,집 자랑과 200충, 300충들이나오면서 지극히 일반적으로 사는 사람들을 까내리는 문화가 생겼고 이 마저도 실제로 그렇게 살지도 못하는 사람들이 익명성을 가지고 막하는 경향이 있는 바람에 더욱 심해지고 있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예전에는 돈을 모아서 저축하여 잘 사는 것이 중요하다는 관점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현재에 충실하자라는 관점이 많이 생기면서 저축을 하기 보다는 현재에 좋은 음식, 좋은 물건을 사면서 자기 만족하는 세대가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가 성장하면서 개인별로 소득 증가와 물가 상승이 원인일수 있습니다.

    물가가 상승하였기 때문에 같은 소비를 하여도 더 많은 소비가 되며 경제 성장에 따른 소득 증가가 결국 소비 확대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또한 MZ세대를 중심으로 퍼지는 소비트랜드도 YOLO문화와 결합해 추구 가치 변화가 달라진 원인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중하게돈을 쓰는 것은 돈이 돈을 불러오게 하면 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회를 잡기위한 공부를 해야하며, 추후 기회가 왔을때 그것이 기회인지 아닌지를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필수적인 것 위주로 투자나 소비를 하게 된다면, 남는 돈으로 저축을 하면서 기회가 왔을때 자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이것은 준비된 자들만이 잡겠지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에 비해 전반적인 경제 규모가 커지고 개인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소비 여력이 늘어난 것은 분명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당장 먹고 사는 걱정보다는 '지금'의 만족을 위해 돈을 쓰는 것에 대한 부담이 줄어든 것입니다. TV, 광고, 소셜 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끊임없이 소비를 부추기는 사회 분위기가 조성된 것 같습니다. '나만 빼고 다 좋은 거 누리고 사는 건 아닐까' 하는 불안감이나, '이 정도는 나에게 주는 보상'이라는 생각으로 쉽게 지갑을 열게 되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저축이나 미래를 위한 투자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지만, 요즘 젊은 세대들은 현재의 행복과 경험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관을 갖는 경우고 많은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예전보다 돈을 헤프게 쓰는 사람이 많아진 이유는 경제 성장, 소비 문화 변화하고 쉬워진 신용 접근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가계 부채 증가나 환경 문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신중한 소비를 위해선 예산관리나, 충동구매 자제, 가치있는 소비 지향 등이 필요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