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암 검사 자궁경부세포검사 부인과검사 산부인과 진단
안녕하세요
제가 병원에서 N879 자궁경부이형성증 진단을 받았는데,
병원에서 잘못 진단 해준건가 문의드립니다
(상황)
1. 건강검진에서
반응성 세포변화 + ASC-US(비정형 상피세포 진단받음)
2. 산부인과에가서 재검사
조직검사를 했는데
결과는 반응성 세포변화 + 인유두종바이러스 음성
결과지에도
(반응성 세포변화 (Class ll)) 만 언급이 있지
ㅡ> ASC-US 나 이형성 (CIN1~3단계)= LSIL~HSIL 단계 언급은 아예 없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형성 (CIN1~3단계)가 아닌데
제꺼 검사는 = 결과 반응성 세포변화 + 인유두종바이러스 음성 인데,
병원에서는 검사한 날
진료기록지에 왜 진단코드를 N879 자궁경부이형성증 이라고 써놓았는지
진단코드가 잘못된 기록 같아
이렇게 문의드립니다.
반응성 세포변화만으로도 진단코드를 자궁경부이형성증 이라고 하는게 맞나요?
이게 보험 가입에 문제가 생겨서 아주 중요한 문제입니다.
***(아래는 일반적인 자궁경부 단계 내용 첨부합니다)
자궁경부 세포 검사결과는 아래와 같이 6단계로 구분됩니다.
1. 정상
2. 반응성 세포변화 <ㅡㅡ"제가 검사결과 해당되는 단계"
3. ASC-US(비정형 상피세포,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4. LSIL(1단계 이형성증/저등급 상피세포병변, Low-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5. HSIL(2~3단계 이형성증/고등급 상피세포 병변, High-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6. 암
NEGITIVE(정상)
CIN1(이형성증 1단계, 경도의 증상, LSIL) : 자궁경부 조직의 1/3 정도 세포이상이 진행된 경우)
CIN2(이형성증 2단계, 고등급 병변, HSIL) : 자궁경부 조직의 2/3 정도 세포이상이 진행된 경우
CIN3(이형성증 3단계, 고등급 병변, HSIL) : 표피 전층에 이상세포가 퍼져 있는 경우 → 상피내암
CIS(제자리암종) : 기저막을 뚫고 내려갔을 때는 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