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선종이라는 질병에 대해 궁금해요
아는 형님께서 흉선종으로 수술을 하셨다는데 검색해보니까 종양이라고 되어있던데 이게 발전하면 흉선암이고 종양이면 그나마 치유가 괜찮은거 겠죠?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흉선암이란 흉선에 악성 종양이 발생한 질환입니다. 흉선은 가슴 부위의 종격동 앞쪽에 위치하는 면역 기관으로, 사춘기에 가장 커졌다가 성인이 되면 점차 퇴화됩니다.
흉선은 상피세포(Epithelial cells), 림프구(Lymphocytes), 신경내분비 세포(neuroendocrine cells)의 세 가지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 흉선의 상피 세포에서 시작되는 암을 흉선종(Thymoma) 또는 흉선암(Thymic carcinoma)이라고 합니다.참고로 흉선을 침범하였다고 해도 림프구에서 발생한 암은 호지킨 림프종(Hodgikin Lymphoma) 또는 비호지킨 림프종(Non Hodgikin Lymphoma)에 해당합니다. 신경내분비세포에서 암이 발생하면 신경내분비종(Neuroendocrine Tumor)으로 분류됩니다.
흉선암을 일으키는 원인은 아직까지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가슴 부위가 방사선에 노출된 경험이 있다면 흉선암에 걸릴 위험이 증가한다는 몇몇의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소아나 젊은 사람에게 발병하는 경우는 드물고, 중년이나 70세의 연령에서 발병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인종으로는 서양인보다 아시아인에게 더 흔하게 발병합니다.
흉선암 진단은 먼저 병력 조사를 통해 해당 증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증상이 있다면 제일 먼저 X-ray를 통해 종양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X-ray를 통해 흉선암이 의심되는 병변이나 비정상적인 병변이 확인된다면 CT를 통해 보다 정확한 영상을 얻습니다.
X-ray나 CT와 같은 영상 검사와 함께 조직 검사(Biopsy)를 시행합니다. 이는 실제로 흉선에 있는 암 존재 유무를 확인함과 동시에 암 세포가 어떤 타입인지 확인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여러 검사를 통해 흉선암이 확인되면 암이 다른 림프절이나 몸의 다른 장기로 퍼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양전자 단층촬영(PET) 검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혈액 검사는 흉선암으로 인한 다른 면역 질환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흉선암을 치료할 때 중요한 것은 병이 진행된 정도와 종양의 세포 유형입니다. 흉선암을 진단받았을 때는 수술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암의 절제가 가능하다면 먼저 수술을 시행합니다.수술이 결정된다면 흉선 제거술(thymectomy)을 시행합니다. 이 수술은 종양을 포함하여 흉선을 완전히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하지만 종양이 주변 장기를 침범하였을 때는 다른 수술 방법을 고려합니다.
방사선 치료를 고려하기도 합니다. 방사선 치료는 높은 에너지의 방사선을 이용하여 암세포를 없애는 치료 방법입니다. 방사선 치료는 수술 후 남아있을지도 모를 종양을 없애기 위해, 또는 수술 전에 종양의 크기를 줄여 수술 시 부담을 줄이기 위해 시행합니다.
항암 치료도 마찬가지로 수술 전에 종양의 크기를 줄이거나 수술 이후 남아있는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하지만 항암 치료는 수술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에 시행하기도 하며,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흉선암의 예후를 말할 때 5년 생존율을 많이 언급합니다. 이는 5년 뒤에 환자 중 생존자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려주는 통계 자료입니다. 미국의 통계 자료를 보면 흉선암의 예후는 발견 당시 병기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흉선암의 5년 생존률은 흉선암이 흉선 조직에 국한된 경우에는 약 88%, 흉선암이 주변의 가까운 장기로 침범하였을 때는 약 74%, 흉선암이 주변 장기를 넘어 간이나 신장과 같은 먼 장기로 침범하였을 경우에 약 41% 정도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흉선종은 말그대로 흉선이라는 기관에 생긴 종양 전반을 일컬으며 의학적으로는 A, B, C 단계로 종양을 분류하여 악성 종양, 즉 암의 가능성 및 생존률등을 확인 및 진단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흉선종은 곧 흉선암을 의미합니다. 즉, 암 수술을 받은 상태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흉선암의 병기에 따라 치료의 방법이나 예후는 달라질 수 있구요.
안녕하세요. 염진희 의사입니다.
흉선종은 종격동 내에 생기는 암입니다. 초기에 진단이 되고 빠른 수술을 시행했다면 예후가 좋을 수 있습니다.
종양이란 비정상적으로 발생한 혹 또는 덩어리를 의미합니다. 종양이 양성일 경우에는 암세포가 없다는 의미이며 악성일 경우에는 암이라는 뜻입니다. 흉선종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양성종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