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굉장한콘도르12
굉장한콘도르12

우리나라에 아열대기후에 서식하는 벌레들이 발생할 가능성은 얼마나 있을까요?

러브버그가 한창 뉴스에서 나오고.. 이거 작년에도 그런 것 같은데요 걱정이네요 그런데 우리나라에 아열대 벌레나 곤충들이 왕성하게 번식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네, 말씀해주신 것처럼 최근 러브버그와 같은 곤충들의 출현은 단순히 한 해의 이례적인 사건이 아니라, 기후 변화로 인한 장기적인 생태계 변화의 신호로도 볼 수 있는데요, 실제로 우리나라가 점차 아열대 기후로 변화하고 있음에 따라, 아열대성 또는 열대성 곤충들이 국내에 유입되고 번식할 가능성은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최근 수십 년간 우리나라는 평균기온이 상승하고 있으며, 서울, 대구, 부산 등 주요 도시의 기온대가 아열대성으로 접어들고 있는데요, 여름철 폭염 일수 증가, 겨울철 강추위가 감소하면서 곤충 생존 및 월동 조건이 향상되었습니다. 이미 일부 아열대성 해충이 우리나라에서 실제로 확인되고 있는데요, 흰줄숲모기 (Aedes albopictus)는 뎅기열과 지카바이러스를 매개하는 모기이며, 남부지방 및 수도권까지 확산 중입니다. 이들이 우리나라에서 번식하게 될 경우 농업 해충으로 변할 경우에 벼, 고추, 옥수수, 감귤 등 주요 작물 피해 가능성 증가할 수 있으며, 모기 등 매개 곤충의 증가로 감염병 확산 우려가 있고, 기존 생태계에 없던 곤충이 포식자 없이 급증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우리나라에 아열대기후에 서식하는 벌레들이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높고, 이미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국립생물자원관의 분석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국내에서 발견된 신종·미기록종 곤충 중 아열대성 곤충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늘어 2024년에는 10%를 넘었습니다. 이는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과 활동 기간 연장 등으로 아열대성 곤충의 국내 정착 및 번식 환경이 개선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러브버그 역시 아열대성 곤충으로, 따뜻하고 습한 기후를 선호하며 이미 국내에서 대규모 발생을 보이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기후 변화로 인해 우리나라에도 아열대성 벌레나 곤충들이 왕성하게 번식할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

    무엇보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우리나라의 연평균 기온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겨울철 기온이 높아지면서 아열대성 곤충들이 월동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따뜻한 기후에 서식하는 곤충들이 북상하여 정착하는 데 유리한 환경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또한 기후 변화는 강수량과 습도 패턴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일부 아열대성 곤충들은 고온다습한 환경을 선호하는데, 우리나라의 여름철이 점차 아열대 기후와 유사해지면서 이들의 번식에 적합한 조건이 될 수 있습니다.

    게다가 해외와 물류가 증가하며 꾸준히 유입이 증가하고 있고, 천적이 거의 없다는 점도 큰 원인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기후 변화와 국제 교역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 아열대 곤충이 유입되거나 정착할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러브버그처럼 일부 곤충은 이미 발견되고 있어 앞으로 이런 현상이 반복될 가능성이 큽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기온 상승으로 러브버그 등 아열대 곤충 번식 가능성이 커졌어요

    해마다 늘고 있어요

    주의가 필요하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