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금리는 언제쯤 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경제에 관심이 있는30대 후반 직장인 남성입니다. 우리나라 금리가 2년이상 동결입니다. 이제 물가도 안정기에 접어든것 같은데 언제쯤 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금리는 지난 2년 동안 동결되었고 물가도 안정세에 접어들었습니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금리가 2024년 후반부터 서서히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다만, 금리 인하 속도는 미국 연준의 정책 변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에서 최근에 한국은행이 한국정부로부터는 확실히 독립된거 같지만 미국연준으로부터는 아직 독립하지 못한거 같다라는 말이 나온적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금리를 인하하고 싶지만 미국에서 계속해서 고금리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금리인하를 시행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많은 전문가들의 예상대로 9월 미국이 첫 금리인하를 시행하면 우리나라 또한 금리인하를 시작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로 인하여
미국이 금리를 선제적으로 내려야 우리나라도 뒤이어서
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크기에 올 9월 이후에나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답은 모르지만...일단 환율 때문이라도 미국이 인하를 하면 그다음 하지 않겠냐는게 지금의 분위기입니다. 미국이 9월 인하가능성이 높은데 우리는 10월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최종원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금리는 미국 금리의 인하와 함께 고려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경제 지표가 우호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올해 말에는 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으로 판단되며, 우리나라의 경우는 미국의 금리가 인하하는 시점에 맞춰 환율 정책 등 수출에 대한 부담감으로 내년 초 정도에 금리 인하가 진행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우리나라 기준금리 인하는 저는 개인적으로 10월로 보고있습니다.
우리나라 금리는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미국 기준금리가 9월에 인하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환율등을 고려해서 미국이 금리인하를 한 뒤에 우리나라가 인하할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금리는 미국의 금리에 영향을 받습니다.
미국이 현재 기조로는 9월에 금리인하가 시행될것으로 예측 중이고
그에 따라 우리나라도 빠르면 9월 금리인하가 시행되지 않을까 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도 물가지만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는것이 더 중요할것 같습니다.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하면 저희나라도 따라서 내릴확률이 크기 때문이죠. 하반기에 기대해도 될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금리 인하 시점을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최근 경제 지표들을 종합해 보면 금리 인하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는 전망이 많습니다. 물가 안정, 경기 침체 우려, 환율 안정, 그리고 금융위기 우려가 금리 인하의 주요 근거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2024년 하반기, 특히 9월이나 11월에 금리 인하가 시작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으며, 경제 상황 악화가 심화되면 2025년까지도 금리 인하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예상합니다.
금리 인하 시점은 경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상보다 경기 침체가 심화되거나 물가 상승률이 다시 높아지면 금리 인하가 미뤄질 수 있습니다. 또한, 금리 인하는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한국은행은 금리 인하를 단계적으로 진행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병준 연세대학교 교수와 최영섭 고려대학교 교수 등 전문가들은 2024년 하반기에 금리 인하가 시작될 가능성을 언급하면서도, 경제 상황을 주의 깊게 살펴본 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결론적으로, 금리 인하 가능성은 높아지고 있지만, 경제 상황 변화에 따라 시점이 다를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미연준 제롬파월의장이 물가지수억제의 유의미한결과로 9월금리인하가능성을 높게보아 우리나라도 9월 미금리인하이후 10월인하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손현석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상황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금리 인하 시점을 명확하게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여러 경제 지표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2024년 하반기 또는 2025년 초에 금리 인하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단은 미국의 눈치를 많이 보는것 같습니다.
적어도 미국에서 기준금리 인하가 되어야 우리도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올 하반기쯤에는 한차례 이상할 것 같기도 한데 좀 더 두고봐야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 단독으로 기준금리를 내리는 건 현재 기준 거의 불가능합니다. 미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과 실제 금리 인하 스케줄을 확인한 후 가능할 것 같은데 아마도 올해 3분기 말이나 4분기에 각각 한 번씩 금리 인하에 나설 듯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기준금리도 1년 6개월 넘게 동결상태인데, 이미 미국과 역전 금리차가 2%가 나는 상황에서 미국보다 선제적으로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아마 미국에서 기준금리가 시행되면 그 후에 우리도 따라서 시행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