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풀리비비123
풀리비비12323.03.02

왜 달팽이는 지나다닐때마다 진액이 남나요?

달팽이가 지나가는 길에는 진액이 남아있는걸 볼 수가 있잖아요.

어떻게 달팽이 진액은 계속해서 생성이 되는건가요?

작은 몸에서 계속 나오는 원인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달팽이가 움직일 때 발생하는 점액(진액)은 달팽이의 몸체에 붙어 있는 점액선에서 분비되기 때문입니다.

    달팽이는 점액선에서 분비되는 진액을 발사관(발포관)이라는 곳으로 이동시키고, 발사관 내부의 근육을 이용해 진액을 밀어내면서 움직입니다. 이런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액이 달팽이가 지나다니는 길에 남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달팽이의 진액은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고 수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나옵니다. 그리고 상처 치유 역활도 하게됩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2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달팽이는 몸 안에 있는 점액이라는 끈끈한 액체를 분비하여 몸을 움직일 때 붙박이가 되지 않고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점액은 달팽이의 몸과 살이 붙은 뼈와 같은 구조물을 보호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방어하는 역할하는 동시에 지나가는 길에 진액이 남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달팽이의 진액은 실제로 점액질의 물질로, 달팽이의 몸을 보호하고 수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달팽이가 움직일 때, 몸의 일부가 지나가는 길에 진액이 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달팽이의 몸은 전체적으로 점액질로 된 거친 표면을 가지고 있어서 이런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달팽이는 피부로호흡하는 동물이고, 호흡을 위해서는 몸외부에 수분이 있어야합니다. 수분에 녹아들은 산소를 제내로 유입하기위함입니다.

    따라서 몸을항상 촉촉하게 하기위해서 수분이 꼭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달팽이의 진액은 달팽이의 움직임과 관련이 있습니다. 달팽이는 움직일 때 발을 내딛을 때마다 몸을 밀어내는데, 이때 발바닥에서 분비되는 점액질의 액체가 진액입니다.

    진액은 달팽이의 발바닥에 위치한 점액샘에서 분비되는 점액질의 액체로, 달팽이의 발을 움직일 때마다 앞으로 나아가는 방향으로 밀려나가게 됩니다. 이렇게 발바닥에서 분비되는 진액은 달팽이가 지나다니는 경로에 진액을 남기게 되어 보행 경로를 추적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또한, 진액은 달팽이의 몸을 보호하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진액은 달팽이가 움직이는 동안 발생하는 마찰을 줄여주고, 상처를 예방하며, 달팽이의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달팽이 진액은 주로 점액질이며, 달팽이의 몸 내부에서 생성됩니다. 점액질은 달팽이의 몸을 보호하고 수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달팽이가 움직일 때에도 진액이 몸과 지면 사이를 채우면서 마찰력을 줄여줍니다.

    달팽이의 몸은 점액질을 생성하는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세포들은 달팽이의 몸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생성되며, 진액은 이 세포에서 분비됩니다. 또한, 진액의 생성은 달팽이의 식습관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분이 부족하면 달팽이는 몸 내부에서 수분을 보존하기 위해 더 많은 점액질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달팽이의 몸에서 생성된 진액은 소화를 돕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 성분은 달팽이가 식물이나 기타 먹이를 먹을 때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달팽이의 진액은 몸을 보호하고 수분을 유지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식물을 소화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