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금리인하 전망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미국 금리는 여러 경제 지표와 연방준비제도 정책에 따라 결정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앞으로 미국 금리 전망은 계속 인하로 가는것인가요?
갑자기 인상을 한다든지 그런 결정도 생길 수 있는것인지 앞으로 미국 금리전망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FOMC 는 중립금리로 가기 위해서 인하를 계속 할거라는 예상이 많기는 합니다
일단 12월도 미국경제전문가들은 70프로 이상이 25비피 인하를 해서 기준금리 4.50% 가 될거라는 전망이 다수입니다
변수는 내년 1월에 취임하는 트럼프죠 미국도 FOMC 는 독립적인 개별의사 기관이긴 하지만 26년을 끝으로 연준의장 파월에서 다른 인물로 교체가 됩니다 트럼프 입맛에 맞는 사람이 되겠죠 그러면 그 이후는 어찌 돌아갈지 예상하는건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변덕많고 변수가 많은 인물이 트럼프니까요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12월 금리인하가능성이 아주 높지는 않습니다
생각보다 미국이 물가다시 상승 우려가 커지고 있고 거기다 예상외로 견조한 경제지표와 고용지표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거기다 내년 트럼프의 무역분쟁으로 수입물가상승우려가 커지면서 금리인하보다는 금리동결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며 내년도도 이런 물가상승흐름에 따라서 기준금리인하가 기존 가이던스와 다른 방향으로 흐를 가능성이 큽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금리 전망에 대해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것 같습니다. 현재 연방준비제도(Fed)는 인플레이션 완화와 경기 안정화를 목표로 금리 인하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최근 발표된 경제 지표들을 보면, 시장에서도 금리 인하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하고 있어요. 특히, 2025년까지 점진적인 금리 인하가 이루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죠.
하지만, 갑작스러운 인플레이션 상승이나 고용 시장의 과열 등 예기치 못한 변수들이 등장한다면 금리 인상으로 전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연준은 경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정책을 조정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변동이 생길 수 있는 점을 유념해야 해요.
따라서, 금리 인하 가능성이 크더라도 경제 지표와 연준의 발언 등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면서 신중하게 투자 전략을 세워보시면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금리 전망은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 방향과 경제 지표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시장에서는 경기 둔화와 물가 안정화를 이유로 금리 인하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다시 상승하거나 고용 시장이 과열될 경우, 예상과 달리 금리 인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연준은 주로 소비자 물가 지수(CPI), 실업률, GDP 성장률 등 주요 지표를 바탕으로 정책을 결정하며, 시장의 기대를 벗어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리 전망은 단기적으로 인하가 유력해 보이나, 경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속적인 경제 지표와 연준 발언을 주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의 경우는 낮은 저금리를 선호하고 또한 현재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안정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2025년의 경우는 금리인하가 진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 트럼프의 정책은 인플레이션을 유발함에 따라 장기적으로는 금리인상이 다시 진행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