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피부과

냉정한코요테219
냉정한코요테219

양치를하면 이가시린데 어떻게해야하나요?

양치를 할때 송곳니 쪽이 시립니다. 평소에는 괜찮은데 양치를 할때만 그러네요. 치과에서 치약을 바꾸라고 해서 바꿧는데 잠깐 괜찮다가 시간지나니까 또 시립니다. 어떻게 해야 이가 안시리게 할수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푸른하늘이
      푸른하늘이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아가 시린 이유는 치아안에 있는 신경이 자극을 받아서 입니다.

      송곳니의 경우 다른치아에 비해 앞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칫솔질을 하실때 마모가 될 가능성이 높아요. 시린증상은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괜찮아 지는경우가 많습니다.

      대신 더이상 마모가 생기지 않도록 해줘야 하는데요. 칫솔질을 하실때 강한 힘을 주지 않고 약한 힘으로 치아가 난 방향으로 꼼꼼하게 닦아주시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성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양치할 때 송곳니 쪽이 시려서 불편하시군요.

      송곳니 쪽에는 잇몸이 얇기 때문에 잇몸이 퇴축되어 치아 목부분이 노출되며 시린 증상이 있을 수 있고 특히 치약에 의해 마모되면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충치에 의한 것이 아니라면 충치치료를 하면 되고 치경부 마모증에 의한 것이라면 치경부를 레진이나 gi로 수복하면 되지만 아무이유 없이 시리다면 지각과민일 수 있으니 지각과민처치제를 도포하여 일시적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지만 지각과민처치제는 시간이 지나면 떨어집니다.

      그러므로 치약에 마모성분이 적게 들어간 시린이치약을 사용하시는 방법이나 시리지 않게 살살 칫솔질 하는 방법을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시린증상이 나타나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치아의 목 부분이 닳아 신경과 근접할 경우가 가장 많고 그 이유에 잇몸이 내려 앉아 치아 뿌리 부분이 노출되거나 충치로 인하여 시린 증상 등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임상사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치약으로 어느정도 개선된 것으로 보아 치아 목 부분이 닳아 신경과 근접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통증이 여전히 나타나고 불편하다면 간단한 레진으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니 치과 방문하여 치료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임태형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단 치아가 시리는것은 잇몸에 염증이 있어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잇몸에 염증이 있다는것은 치아와 잇몸사이에 음식물이나 치태 등의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이 끼어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따라서

      일단 스케일링을 하셔서 잇몸과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 하시는 단계가 필요하십니다

      이렇게 스케일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신후에도 계속 시리다면

      레진이나 GI라는 치아색나는 재료로 떼우시거나

      과도한 시림이 있는 경우에는 신경치료를 하셔야합니다. (신경치료를 하시면 보통 크라운 까지 씌우셔야하는것을 알고 계셔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주경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단 치아가 시리면 센소다인 같은 시린치아 전용으로 나오는 제품을 써보시는것이 좋습니다.

      시린치아 전용 치약을 쓰시더라도 곧바로 증상이 나아지진 않고, 한달정도 꾸준히 쓰셔야 효과가 있습니다.

      이렇게 하여도 시린증상이 없어지지 않으면

      치과에 가셔야합니다.

      치과에 가셔서 엑스레이를 찍어보시고,

      치아자체에 큰 문제가 없으면 시린곳에 코팅이나 떼우는 술식을 받아보시면됩니다.

      단, 이렇게 코팅이나 떼우는 술식을 하셔도 금방 떨어질 가능성이 있으니, 떨어질때 다시 병원에 내원하셔서 다시 치료를 하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호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아가 시린경우 잇몸에 염증이 생겨서 잇몸이 퇴축된 경우 또는 치아와 잇몸경계 부분의 치아가 깨져나간 경우에 시린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곳에 충치가 있는 경우에는 충치를 완전히 제거한다음 치아색나는 재료로 메꾸는 작업을 하시게 됩니다.

      그렇게 하여도 시린증상이 소실되지 않는 경우에는 아예 신경치료를 진행하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자연적으로 칫솔질이나 치아교합압(씹는힘)에 의해 잇몸경계에 있는 치아부분이 미세하게 깨져나가는데요

      이렇게 되면 차가운것이 그 잇몸경계에 있는 치아부분에 닿이면 시린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마치 패딩을 입고있는데, 허리춤의 패딩부분만 찢어져 나가게 되었을때 허리부분에 바람이 들어오면 시리고 추운것과 같은 것입니다.)


      만약 시린것이 위의 증상때문이라면 간단하게 코팅이나 떼움(GI나 레진을 사용합니다)으로써 시린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린이유가 치아의 충치가 심해져서 치수(치아에서 신경과 혈관이 분포한 부분)에 염증이 생겼다면 위의 처치로는 증상을 개선하기 어렵고 신경치료 등을 하셔야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이가 시린 증상으로 문의주셨습니다만 정확히 치아상태를 봐야 진료가 가능한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갑자기 이가 시리기 시작하였다면 충치나 잇몸의 염증 등을 우선 고려해볼 수 있겠습니다.
      증상이 더 심해지시면 치료에 시간이나 비용이 더 들어가기 때문에 빠른 시일내 치과에서 정확한 진료를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해당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우선, 치과에 내원하셔서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시리다고 내원하시는 경우들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잇몸염증이나 치주염으로 잇몸이 들뜬 경우 - 잇몸이 부어 치아와의 접촉이 약해짐으로써 치아 뿌리에 자극이 노출되어 시린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치과에 내원하여 스케일링이나 필요시 잇몸치료 등의 치료를 통해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2. 치경부(치아의 잇몸의 경계부분)가 마모된 경우 - 치경부는 치아의 가장 바깥쪽 물질인 법랑질(에나멜)이 가장 얇은 부위로, 단단한 음식이나 질긴 음식을 즐겨 드시거나 씹는 힘이 강한 경우, 칫솔질을 좌우로 심하게 하는 경우 등, 마모가 가속화되어 법랑질 다음 층인 상아질이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시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그외 치아의 다른 부위에 깨진 부위나 금이 간 경우

      단순히 잇몸이 좋지 않아 찬물이나 뜨거운 물에 시린 경우에는 스케일링이나 잇몸치료 등으로 호전될 수 있으나, 치주염이 심한 경우에는 치료가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치아에 이상이 생겨 예민해진 경우 초기에는 찬물에 시리거나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뜨거운 물에는 반응이 없지만(급성 치수염), 신경이 점점 변성되어 가면서 점점 찬물에 대한 반응은 약해지고 뜨거운 물에 대한 반응이 커질 수 있습니다(만성 치수염). 급성인 경우에는 단순히 자극을 제거하는 것으로(ex. 떼워주는 등의 치료) 치료가 종결되지만, 만성 치수염의 경우 자극을 제거하더라도 신경이 변성되어 되돌아오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신경치료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양치할 때 송곳니가 시리다면, 보통은 마모나 충치때문에 그럴 수 있습니다.

      송곳니의 경우, 치아끝쪽이 잘 깨지거나 마모가 됩니다.

      또한, 치경부마모증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치과에서 다시 검사를 받아서, 필요한 치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