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앱테크 시작
앱테크 시작22.09.21

차가 막히는 원리는 뭘까요?처음과 끝이 있을것인데...

도로는 쭉 뻗어 있고 도착한 사람 출발하는 사람 있을 텐데 도대체 차는 왜 막히는 걸까요?

차를 안막히게 할수는 없을까.. 그럼 살만 할텐데..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우렁찬금조149입니다.

    도로라는 공간은 한정적입니다. 그에 비해 자동차는 시간대(출퇴근, 주말, 연휴 등)에 따라 이용자 수가 달라지죠. 도로 위에서는 속력이나 순서에 대한 규칙이 존재합니다. 한정적인 공간에 비해 과도한 차가 유입이 되면 교통질서를 지키기 위해 속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고 속력을 줄이는 상황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우선 일반적인 도로는 최고 속력에 대해 제한이 있어서 맨 앞 차량은 그 속력에 맞춰 이동할 것입니다. 이때, 첫번째 차가 조금이라도 속력을 줄이면 두번째 차는 부딪히지 않기 위해서 앞 차보다 같거나 작은 속력으로 움직여야 합니다. 그렇게 연속적으로 바로 뒤 차는 앞 차의 속력보다 빠를 수 없습니다. 이런 상황은 차가 많을수록 마지막 차량의 속력과 맨앞 차의 속력 차가 커지겠죠. 따라서 단순히 직선 고속도로라도 차가 막히는거죠.

    게다가 일반적인 도로는 일직선이 아니라 여러 교차로나 신호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더 쉽게 교통체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고귀한참밀드리37입니다.

    제가알고있는 한도에서는 차가 막히는 이유는

    잘 달리던차가 브레이크를 밟으면 뒷차도 밟게되고

    이게 연속적으로 이어집니다

    쓸데없이 잦은 브레이킹을하면 할수록 뒷차들이

    막히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영특한천인조124입니다.사람들이 도시로 몰려들게 되고 도시는 땅이 한정적인데 자동차는 점점 늘어나고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교통체증이 증가하는거같아요 그리고 운전을 x같이 하는 인간들도 교통체증의 원인인거 같아요 ㅎㅎ


  • 안녕하세요. 굳건한사마귀212입니다.

    이격거리가 발생하고 신호등에인하여 앞선차가 제동을 하면 뒤에차가 멈추게되어 차가많을수록 이현상이 많아져 차가막히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그리운물수리18입니다.

    나비효과라고 생각하면됩니다 사고로 정체될수도있지만 앞에차가 브레이크 밟고 뒤에 차들이 또 밟으면 그게 쌓여 차가 막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