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다가올수록 아침에 일어나기 힘든 이유가 뭘까요?
추석이 지나니 쌀쌀해지고 겨울이 성큼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겨울이 다가올수록 아침에 일어나기 힘든 이유가 뭘까요?
혹시 사람도 예전에는 동면을 했던 건 아니겠죠?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침 기상은 개인적인 컨디션, 습관 등으로 생기는 차이인것 같습니다.
물론 추워지면 따뜻한곳에 좀더 머무르고 싶은 마음때문일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의 경우 낮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짐에 따라 일출 시간이 상대적으로 늦습니다. 이에 따라 평소와 동일한 시간이라도 상대적으로 어두움에 따라 일어나는게 힘들 수 있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은 일출이 늦어지고 일몰이 이른 시기입니다. 이로 인해 천체 시계와 연결된 우리의 생체 리듬인 체내 시계도 조정됩니다. 체내 시계는 몸의 수면-각성 패턴을 조절하는데, 겨울에는 아침에 일어나기가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겨울에는 낮은 온도와 어두운 조건으로 인해 침구에서 나와 실제 환경으로 나가는 것이 더 귀찮고 불편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아침에 일어나기가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는 자전축이 기울어진 상태로 태양 주위를 공전합니다. 이로 인해 태양의 남중 고도가 매일 달라지며 낮과 밤의 길이도 달라집니다.
1년 중 낮이 가장 긴 날은 하지(6월 21일경), 밤이 가장 긴 날은 동지(12월 22일경),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날은 춘분(3월 21일경)과 추분(9월 23일)입니다. 동지를 지나면서 하지까지는 점점 낮이 길어지고, 하지를 지나서 동지까지는 밤이 점점 길어집니다. 따라서 어두운 시간이 길어지니 아침이라는 생각을 하기 어렵고, 기온도 내려감에 따라 따뜻한 이불 속이 더 좋아서 일어나기 힘들어지는 것 아닐까 생각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은 보통 빛을 감지하게되면 하루를 시작하는 프로세스가 작동하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해가짧아지고 특히 아침에 해가늦게뜨는 겨울이 다가올 수 록 일어나기 더 힘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는 날씨가 추워서 실내 생활을 더 많이 하게 됩니다. 실내 생활을 많이 하면, 자연광을 쬐는 시간이 줄어들고, 운동량도 줄어들게 됩니다. 이로 인해 생체리듬이 깨져서 아침에 일어나기가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