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는 모성애가 없나요? 문어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이세상의 모든 생명체는 모성애가 있을것 같은데요 문어는 알을 낳는 순간 죽는 걸로 알고 있어요 이런 문어는 모성애가 없을까요? 그리고 알을깨고 나온 새끼 문어는 험난한 세상을 어떻게 혼자 배워 나가는지 문어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문어는 다른 그 어떤 생물보다도 모성애가 강한 편입니다.수정란에서 어린 문어가 부화할 때까지 1~6개월간 아무것도 먹지 않은 채 천적으로부터 알을 보호하면서 온몸을 이용해 알에게 산소를 공급합니다.새끼 문어가 부화하게 되면 생명을 다한 어미 문어는 다른 생물에게 먹이가 되면서 자연으로 돌아갑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문어는 모성애가 매우 강한 편입니다.
알에서 새끼 문어가 부화할 때까지 1~6개월간 아무것도 먹지 않고 알을 보호하고 온몸을 이용해 알에게 산소를 공급합니다.
또한 미국의 연구팀이 심해문어가 알을 4년 반 이상 품는 것을 관찰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이는 지구상에 알려진 어떤 동물 경우보다도 긴 기간입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암컷 문어는 알을 낳고 알이 부화하면 대부분 죽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문어 새끼는 알에서 부화해 나온 직후에는 매우 작은 크기를 가지며, 해저에서 살아가기 위해 스스로 배워나가야 합니다. 문어 새끼는 시력과 후각이 발달되어 있어서 먹이를 찾을 수 있고, 굴이나 바위 등의 구석진 장소에서 숨을 수 있는 기술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문어 새끼는 생존 기술을 스스로 익힐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서, 다른 문어나 동물들의 행동을 관찰하며 배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문어는 새끼가 태어날때쯤 스스로 자해하며 삶을 포기하는데요.
연구자들은 2가지 가설을 만즐었습니다.
- 첫째는 문어에 동종포식 성향이 너무 강해 어미가 태어난 새끼를 먹어버리는 일을 막기 위해 자기 파괴 프로그램을 만들게 됐다는 설명입니다.
- 다른 하나는 소수의 문어가 무한정 커져 다른 작은 문어를 잡아먹는 사태를 막기 위해 진화한 속성이란 가설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사해본 결과 문어는 대개 산란 후 수명이 다하거나 산란 중 스트레스 등으로 죽게 된다고 합니다. 모성애라는 개념이 적용되지 않는 사항이라고 판단됩니다. 그리고 문어 새끼들은 부드러운 몸을 보호하기 위해 작은 돌이나 조개껍질등으로 만든 보금자리에서 자란다고하며 살아남기 위해 다양한 기술등을 배우며 발전시키기 때문에 살아 남을수 있다고 하니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