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면병합을 몇달만에 하는 회사는 왜 그런가요?
주식수가 계속 줄어드니까 뭔가 손실이 난 것 같아서 기분이 좋지 않은데요. 기업이 짧은 기간에 액면병합을 하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액면병합을 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액면병합은 주식의 액면가를 높이면서 동시에 시중에 풀린 주식의 숫자를 줄이는 것으로
이는 주식의 가치가 높아지기에 주주들의 권익 보호가 되는 것으로
주주의 입장에서는 호재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액면병합을 몇 달 만에 반복하는 기업은 주가 부양을 위해 강제적으로 주식수를 줄이는 전략을 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주가가 너무 낮아 투자 매력이 떨어지거나, 상장폐지 요건을 피하기 위해 액면병합을 단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반복적인 액면병합은 시장에서 기업의 재무 상태나 성장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액면병합은 저가주 이미지를 벗어나 지나치게 유통주식수가 많은 것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이 대부분입니다. 무상감자와는 다르게 자본금의 감소가 이뤄지지는 않으나 주식 물량이 일정 비율로 줄어들게 된다는 점에서 무상감자와 비슷한 부분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이 액면병합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저가주 이미지를 벗어나기 위함이고, 그 다음 이유는 유통주식 수를 조절하기 위해서 입니다. 액면병합은 크게 봐서 악재입니다. 주식수는 줄고 주가가 올라도 크게 주식 변동이 없는 경우가 많고 오히려 떨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이 짧은 기간 안에 액면병합을 하는 것은 일반적인 상황은 아니며, 몇 가지 특정한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주식 수가 줄어드는 것에 대해 느끼시는 불안감은 이해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액면병합 자체는 기업의 펀더멘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그 배경에 숨겨진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액면분할 이후 주가가 예상만큼 상승하지 못하거나 오히려 하락하여 주당 가격이 너무 낮아진 경우, 액면병합을 통해 주가를 인위적으로 높여 보이는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낮은 주가는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심리적 저항선 이하로 떨어지면 투기적인 거래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이를 방지하려는 목적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액면병합을 하면 발행 주식 수를 줄여 주당 가치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는 주식의 희소성이 높아져 주주들에게 이익이 돌아가며 회사의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자본 구조를 간소화하고 주주들의 지분율을 명확히 하는 자본 구조 개선 효과도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