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의 경우 나무나 꽃은 곤충, 새, 동물에 의해 꽃가루가 옮겨지면서 열매를 맺는다고 하는데요. 은행나무의 경우는 다르다고 하는데 어떻게 다른지 알려 주세요.
보통의 경우 나무나 꽃은 곤충, 새, 동물에 의해 꽃가루가 옮겨지면서 열매를 맺는다고 하는데요. 은행나무의 경우는 다르다고 하는데 어떻게 다른지 알려 주세요.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의 경우 나무나 꽃은 곤충 새 동물에 의해 꽃가루가 옮겨지면서 열매를 맺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은행나무의 경우는 다르게 작동합니다. 은행나무는 자체적으로 꽃가루를 옮기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자가수분화라고 부릅니다.
자가수분화는 은행나무의 꽃가루가 자신의 수술기관에 의해 수술되어 다른 꽃에 옮겨지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은행나무가 자신의 꽃가루를 다른 나무에 비해 더 높은 확률로 옮길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리고 은행나무는 꽃가루를 옮기는 과정에서 자신의 수술기관에 있는 액체를 이용하여 꽃가루를 보호하고 보존하는 역할도 합니다.
이러한 자가수분화는 은행나무가 다른 나무와 꽃가루를 공유하지 않고도 자신의 꽃가루를 보호하고 전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리고 은행나무는 자가수분화를 통해 자신의 꽃가루를 다른 나무에 비해 더 높은 확률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생존에 유리한 전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은행나무는 다른 나무와는 다른 방식으로 꽃가루를 옮기고 열매를 맺는다는 점에서 특이한 나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가수분화의 작동 원리는 아직도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은행나무의 생존 전략을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은행나무는 자가수분수종으로, 한 나무 내에서 수종이 발생하지 않아도 열매를 맺을 수 있는 특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한 그루의 은행나무만으로도 열매를 맺을 수 있어서 다른 나무나 식물들과는 달리 수분수종의 특성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은행나무는 다른 식물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번식하고 열매를 맺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은행나무는 암나무와 수나무가 나누어진 자웅이주입니다.
은행나무의 꽃가루는 비교적 가벼워 바람에 잘 날립니다.
그래서 바람에 수나무에 핀 수꽃의 꽃가루가 날리어 암나무의 암꽃에 도달하면 수분이되고 열매가 맺힙니다.
이렇게 바람을 통해 수분하는 식물을 풍매화라고 하며 소나무, 잣나무, 은행나무 등이 이런 방식으로 수분합니다.
네, 맞습니다. 일반적으로 나무나 꽃은 곤충, 새, 동물 등의 매개체를 통해 꽃가루가 옮겨져 수정이 이루어지고 열매를 맺는 과정을 거치지만 은행나무는 이와는 다른 독특한 수분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은행나무는 풍매라는 방식으로 수분을 진행합니다. 즉, 꽃가루가 바람에 의해 운반되어 암꽃에 도달하게 됩니다.
은행나무의 수분 과정에서 몇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은행나무는 자웅이주 식물로, 수꽃과 암꽃이 다른 나무에서 생깁니다.수꽃은 꼬양이 모양의 장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는 많은 양의 꽃가루가 들어 있습니다. 그리고 암꽃은 밑술이라는 기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밑술 끝에는 씨방이 있습니다. 씨방 안에는 난자가 들어 있습니다. 꽃가루가 바람에 의해 암꽃의 밑술에 닿으면 꽃가루가 발아하여 꽃가루관을 형성합니다. 꽃가루관은 밑술을 따라 씨방까지 뻗어 난자와 수정하게 됩니다.
따라서 은행나무는 곤충이나 동물 매개체 없이 바람만으로 꽃가루를 전달하여 수분을 하는 독특한 식물입니다. 이러한 풍매 방식은 꽃가루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넓은 지역에 걸쳐 쉽게 번식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안녕하세요. '수분매개자'는 꽃가루 매개자라고도 불리우며 꽃의 수술에 있는 꽃가루를, 암술로 옮겨서 생식(수분)시키는 과정을 이뤄내는 생물체를 말합니다. 하지만 이런 수분매개자의 도움없이 소나무의 꽃은 바람에 의하여 수정을 하는 풍매화이며, 은행나무 역시 독특한 방식으로 번식을 합니다. 은행나무의 경우 암나무와 수나무가 따로 있으며 암나무에서는 암꽃만, 수나무에서는 수꽃만 핍니다. 또한 꽃가루는 바람을 타고 이동해 수분이 됩니다. 게다가 은행나무는 동물의 도움을 받아 번식하기 어려운데요, 은행은 냄새가 좋지 않고 독성 물질까지 들어 있어 야생동물이 먹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은행나무는 인간이 인위적으로 나무를 심는 경우가 더 많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은행나무는 일반적인 꽃식물과는 다른 독특한 수분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은행나무는 고생대부터 존재해온 살아있는 화석으로, 바람에 의해 수분이 이루어지는 풍매화입니다. 암나무와 수나무가 따로 존재하며, 수나무에서 생성된 화분(꽃가루)이 바람을 타고 날아가 암나무의 종자에 도달하여 수정이 이루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곤충이나 동물의 도움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은행나무의 '씨'는 실제로 씨앗이 아닌 종자로, 겉씨식물에 속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은행나무는 현대의 꽃식물들과는 구별되는 고대의 번식 방식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은행나무가 진화의 과정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