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밥은 파는게 좋은가요? 안파는게좋은가요?
귓밥 파는게좋다 안파는게 좋다 말들이 있는데요. 안파면 나중에 막히거나 그러는거 아닌가요? 자동으로 흘러 나오는것도 아닌데 그냥 파는게 좋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귀지는 자동적으로 없어집니다
일부에서는 남기도 하는데 이 역시 환자분이 직접 제거하게 되면
외상의 위험이 있으니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셔서 제거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귀지를 직접 제거한다고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외이도손상 고막외상등의 원인은 귀지를 제거하다가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귀지는 대부분 자연배출되므로 일반적으로는 파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외이도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해주며, 면봉이나 귀이개로 자주 파면 오히려 외이도염이나 상처, 고막 손상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귀가 먹먹하거나 이명이 들리는 경우, 귓속이 간지럽고 진물이 나거나 통증이 있을 때 등에는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여 의료진에게 해결해달라고 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귓밥을 파는 것이 좋을지, 아니면 그냥 두는 것이 좋을지에 대한 궁금증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 이 문제는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고민입니다. 귀지는 귀 안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되어 외부로 빠져나오기도 하고, 그 과정에서 귀 안의 먼지나 불순물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점에서 귀지는 어느 정도 필요하기 때문에 무조건 제거하는 것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많은 경우 귀 자체가 자동으로 귓밥을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을 통해 청결을 유지하기 때문에 특별한 문제가 없을 때는 자연스럽게 두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귓밥이 너무 많이 쌓여 귀가 막히거나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면 그때는 조심스럽게 제거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귀 속 깊이 무리하게 파지 않는 것이 중요한데, 귀 속의 피부는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상처가 나거나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서는 병원을 방문하여 안전하게 제거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결국 귓밥을 파는 것이 좋을지, 그냥 두는 것이 좋을지는 각자의 귀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귀지(귓밥)는 사실 우리 몸의 자연적인 방어 기제입니다. 귀 외이도의 선(腺)에서 분비되는 것으로, 먼지나 이물질, 벌레 등이 귀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고 귀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건강한 귀는 대개 자정작용(self-cleaning)을 가지고 있어, 턱을 움직이거나 씹는 동작을 할 때 귀지가 자연스럽게 바깥쪽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귀지를 파서 제거하는 것은 실제로 귀 건강에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면봉이나 귀이개 등으로 귀지를 파면 오히려 귀지를 더 안쪽으로 밀어 넣어 귀지 마개(귀지 떡)가 형성될 위험이 있고, 외이도나 고막에 상처를 입힐 수도 있습니다. 또한 귀의 자연적인 보호 기능이 저하될 수 있어요. 그러나 간혹 귀지가 과도하게 생성되거나 습한 타입의 귀지를 가진 분들은 귀가 불편하거나 청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의료진을 통한 안전한 귀지 제거를 권장합니다. 일상적으로는 귀 외부만 부드럽게 닦아내는 것으로 충분하며, 귀 안쪽은 건드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귀지는 외이도를 보호하는 효과도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 서서히 외부로 배출이 되기 때문에 손을 대지 말 것을 권합니다.
대부분의 우리나라 사람은 건성 귀지로 그대로 두더라도 막히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귀지를 파내다가 외이도 점막의 자극으로 외이도염이나 고막 손상의 원인이 될 수도 있으므로 피하고 제거를 원한다면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여 안전하게 제거할 것을 권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귀지의 경우 자연스럽게 귀 내부에서 배출이 되도록 놔두는 것이 귀 건강을 위해서는 도움이 되며 무리하게 파는 경우 외이도에 손상을 주어 외이도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너무 자주 안 파기보다는 주기적으로 이비인후과에 방문하여서 귀지 제거를 하는 방법이나 딱딱한 물건보다는 솜을 살짝 물에 묻혀서 겉에만 살짝 파내는 정도로 관리해 주시는 것이 그나마 세척하는데에 나은 방법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귓밥(이도지, 또는 귀지)을 파는 게 좋은지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의견이 다를 수 있지만, 의학적으로 보면 일반적으로 귀지는 굳이 파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귀지는 외이도(귀 구멍)를 보호하고 세균이나 이물질의 침입을 막는 방어 역할을 하기 때문인데요. 귀지가 외이도에서 안쪽으로 자라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바깥쪽으로 밀려나오면서 저절로 떨어지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씹기, 말하기 같은 턱의 움직임이 귀지의 자연적인 배출을 돕습니다.
하지만 귀지가 자연스럽게 빠져나오지 않고, 축적되어 귀가 막히거나 가려움증, 귀 먹먹함, 이명 같은 증상을 유발한다면 그때는 병원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면봉이나 귀이개로 자주 귀지를 파면 오히려 귀지 찌꺼기를 더 안쪽으로 밀어 넣게 되어 외이도염이나 고막 손상, 귀지 마개(귀지덩어리로 막힘)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특히 습한 귀지를 가진 분들은 더 자주 귀가 막히는 경향이 있어 주기적인 전문 관리가 필요할 수 있죠
결론적으로, 귀를 파는 것은 꼭 필요할 때만, 부드럽게, 외이도 바깥쪽만 조심스럽게 해야 하며, 귀에 이물감이나 이상이 느껴질 땐 스스로 제거하려 하기보단 이비인후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아이들이나 귀 질환 병력이 있는 분은 더 주의가 필요합니다. 귀는 예민한 부위이니 과한 청소보다 적절한 자연 관리가 핵심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