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찐찐이들맘
찐찐이들맘

코인 선물 롱 전략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를 들어 알 수 있을까요?

최근 코인 Short 전략을 통해 수익을 내는 것을 공부하고 시험 중인데, 롱 전략의 경우 일반적인 현물 매수 대비 레버리지를 사용한다는 기본적인 개념을 제외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해보고 싶습니다.

코인 Long 전략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문가분들의 좋은 답변 기대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코인 선물 롱(Long) 전략은 코인의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할 때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일반적인 현물 매수와 달리, 레버리지를 사용해 초기 투자금보다 더 큰 포지션을 취할 수 있습니다.

    예시: 비트코인 롱 포지션

    1. 시장 분석: 비트코인의 가격이 중요한 지지선(예: $25,000) 근처에서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가정합니다. 여러 기술적 지표(예: RSI, MACD, 거래량)가 상승 신호를 보인다고 판단합니다.

    2. 포지션 설정: 10배 레버리지를 사용해 $1,000를 투자하고 $10,000 상당의 비트코인 롱 포지션을 잡습니다.

    3. 목표 설정: 가격이 $25,000에서 $27,000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목표가를 $27,000으로 설정합니다.

    4. 손절 설정: 예상과 다르게 가격이 하락할 경우 손실을 제한하기 위해 $24,000에 손절매를 설정합니다.

    5. 결과:

      • 성공 시: 비트코인이 $27,000에 도달하면 $2,000(=$10,000 * (27,000-25,000) / 25,000)의 수익을 얻습니다.

      • 실패 시: 가격이 $24,000로 하락하면 $400(=$10,000 * (24,000-25,000) / 25,000)의 손실을 입습니다.

    전략적 접근

    1. 레버리지 관리: 고배율 레버리지는 위험이 크므로 자산의 일부분만을 레버리지 포지션에 사용하고, 자산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2. 기술적 분석 강화: 기술적 지표와 패턴을 통해 롱 포지션 진입의 적절한 시점을 파악해야 합니다.

    3. 리스크 관리: 손절매와 목표가를 명확히 설정하여, 예상하지 못한 시장 변동에 대비합니다.

    이처럼 코인 선물 롱 전략은 상승 가능성을 정확히 예측하고 리스크를 관리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경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 선물 롱 전략은 암호화폐의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할 때 사용하는 투자 전략입니다. 롱 포지션을 취할 때, 투자자는 현재 가격보다 더 높은 가격에서 암호화폐를 매도하여 이익을 얻기를 기대합니다. 일반적인 현물 매수와 달리, 선물 롱 전략은 레버리지를 사용하여 더 큰 포지션을 취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적은 자본으로도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게 하지만, 동시에 손실 위험도 증가시킵니다.

    롱 전략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시장이 저점에 있을 때 진입하여 가격이 상승할 때 매도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의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다가 기술적 분석이나 시장 뉴스 등을 통해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때, 롱 포지션을 취할 수 있습니다. 이때 투자자는 교차 격리 및 스탑로스와 같은 주문 설정을 통해 리스크를 관리하며, 시장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시점에 포지션을 청산합니다.

    롱 전략은 시장의 방향성을 예측하는 능력이 중요하며, 시장 감정이나 뉴스, 소셜 미디어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시장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투자자는 시장의 저점을 파악하고, 적절한 시점에 진입하여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높은 변동성과 예측 불가능성으로 인해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며, 레버리지를 사용할 경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 선물 롱 전략은 특정 암호화폐의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할 때 사용하는 투자 전략입니다.

    에를들면 이런 방법이죠.

    1. 시장 분석: 비트코인의 현재 가격이 30,000달러라고 가정하고, 기술적 분석이나 뉴스 등을 통해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판단합니다.

    2. 선물 계약 매수: 비트코인 선물 계약을 30,000달러에 매수합니다. 예를 들어, 1 BTC의 선물 계약을 매수한다고 가정합니다.

    3. 레버리지 사용: 만약 10배 레버리지를 사용한다면, 실제로 3,000달러만 투자하여 30,000달러의 포지션을 가질 수 있습니다.

    4. 목표 설정: 비트코인의 가격이 35,000달러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이 가격에 도달하면 포지션을 청산하기로 결정합니다.

    5. 청산: 비트코인이 35,000달러에 도달하면, 선물 계약을 청산하여 5,000달러의 이익을 실현합니다. 레버리지 효과로 인해 실제 투자한 금액보다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롱 전략의 구체적인 예를 하나 살펴 보겠습니다.

    가정:

    코인: 비트코인 (BTC)

    현재 가격: $30,000

    레버리지: 10배

    초기 투자금: $1,000

    1. 롱 포지션 진입:

    비트코인의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하여, $30,000에서 롱 포지션을 10배 레버리지로 진입합니다.

    $1,000의 초기 투자금을 10배 레버리지로 사용하면, 실제 거래 규모는 $10,000가 됩니다.

    즉, 0.3333 BTC를 매수하게 됩니다 (10,000 / 30,000).

    2. 가격 상승:

    예상대로 비트코인의 가격이 $35,000로 상승했습니다.

    이때, 0.3333 BTC의 가치는 $11,666.67이 됩니다 (0.3333 * 35,000).

    3. 수익 계산:

    포지션을 청산하면 $11,666.67를 받게 됩니다.

    투자금은 $10,000이었으므로, 이 중 $1,000은 레버리지 없이 사용한 자금이고, 나머지 $9,000는 빌린 돈입니다.

    따라서, $11,666.67 - $9,000 = $2,666.67이 순이익이 됩니다.

    4. 수익률 계산:

    초기 투자금이 $1,000이었으므로, 수익률은 $2,666.67 / $1,000 = 266.67%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선물 시장에서는 현물 가격과 선물 가격 간의 차이, 즉 스프레드가 발생하는데, 이 스프레드를 활용하여 포지션 매매 전략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스프레드가 양수인 경우, 즉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높을 때는 상승을 예상하고 롱 포지션을 취하시면 됩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 롱 전략은 특정 암호화폐의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할 때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예로 비트코인의 현재 가격이 30,000달러일 때, 향후 상승을 예상하여 10배 레버리지로 롱 포지션을 열었다고 가정합니다. 이 경우, 비트코인 가격이 10% 상승하여 33,000달러가 되면 수익은 레버리지 효과로 100% 증가하게 됩니다. 즉, 투자금 대비 두 배의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예상과 달리 10% 하락하면 원금이 모두 손실될 위험도 있습니다.

    이 전략에서 중요한 것은 정확한 시장 분석과 리스크 관리입니다.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확신할 때만 롱 포지션을 열어야 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손절매(stop-loss) 설정도 필수적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 LONG 전략은 본인의 증거금을 이용해 1배~100배의 코인을 매수하는 것입니다.

    100만원 상당 증거금으로 5배 롱포지션 진입시,

    500만원치 코인을 구매한것이되며,

    10%오를 경우에 50%수익으로 150만원이 정산,

    10%하락 시에는 50%손실로 50만원이 남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