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에 대한 내성은 왜 생기나요????
아파서 약을 먹다 보면 어느 정도 먹다가 그만둬야 한다고 합니다. 나중에는 약에 내성이 생겨서 약이 듣질 않는다고 하는데요.왜 그런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민경 약사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약물을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하면서 약물에 대한 저항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약물이 목표로 하는 세포나 조직이 약물에 노출되면서 생길 수 있는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약물의 대사나 배출에 관여하는 유전자 변이나 약물의 대사 효소의 변화 등도 약의 내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약물이 특정 수용체에 결합하여 작용하는 경우, 반복적으로 사용되면 그 수용체가 더 이상 약물에 반응하지 않도록 변화할 수 있습니다. 수용체의 수가 감소하거나 기능이 저하되는 등의 반응이 발생하면서 약물의 효과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내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려면, 약물을 필요한 최소한의 기간 동안만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에 용량 용법을 지켜서 복용을 하길 권장드립니다.
항상건강하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셨길 바랄께요 평가 감사드려요.^^
안녕하세요. 박호현 약사입니다.
내약성이 생기는 이유는 약물마다 그 매커니즘이 다른데 항생제나 항바이러스제는 인체가 내성이 생기는게 아니라 살아남은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내성을 가지는것이며 다른약은 약물 대사속도가 빨라지거나 약물 수용체 수가 감소하거나 약물에 의존하여 원래 기능이 떨어져서 내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좋은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모든 약에서 내성이 생기지는 않습니다.
내성이 생기기 쉬운 약을 지속적으로 복용하면 수용체 민감도가 떨어지거나 대사작용 활성화에 의해서 약효가 감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