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절개를 하면 모유수유를 며칠간 못하나요?
제왕절개를 하면 항생제를 많이 투여하기 때문에 며칠동안 모유수유를 못한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그렇다면 모유수유는 제왕절개 수술 후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수술후 3일째부터 모유수유 한다는 의견이 있는데,, 기본적으로 모유수유는 제왕절개 해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큰 무리가 없으면 바로 모유수유 해도 될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제왕절개로 분만한 산모들 중에는 모유수유가 어려울 것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제왕절개를 한다고 해서 모유수유가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다만 수술 후에는 회복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모유수유가 시작되는 시기가 조금 미뤄질 수 있습니다. 보통 수술 후 정신적으로 명료하고 아기를 안을 수 있는 상태라면 그때부터 모유수유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제왕절개를 한 경우라도 모유수유를 원한다면 모유수유를 빨리 시작하고 유방을 자극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아기와의 유대감이 형성되며 옥시토신 분비가 촉진됩니다. 또한 모유를 먹이면 산모가 통증을 잊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며, 제왕절개 후에는 유방 울혈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조기에 자주 모유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제왕절개를 한 경우 초기에는 아기와의 접촉 시간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가능한 경우 모자동실을 활용하거나 아이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어 아이가 원할 때 언제든지 모유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것이 어렵다면 유축기를 사용하여 가슴에 울혈이 생기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제왕절개의 경우도 다음날 부터 통증만 없으시다면 모유수유는 가능하십니다.
항생제로 인해 모유수유에 제한은 없으실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제왕절개 이후 투약될 수 있는 항생제나 진통제가 모유를 통해서 아이에게 많이 전달되거나 할 가능성은 없기 때문에 바로 수유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다만 수술로 인하여 저하된 컨디션이 따라주지 못하여 수유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이호 의사입니다.
제왕절개를 하면 항생제를 많이 투여하기 때문에 며칠 동안 모유수유를 못할 수도 있습니다. 항생제는 모유로 분비될 수 있으며, 아기에게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모든 항생제가 모유로 분비되는 것은 아니며, 아기에게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항생제는 제왕절개 후 24시간 이내에 투여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제왕절개 수술 후 언제부터 모유수유가 가능한지는 산모의 수술 상태, 아기의 건강 상태, 그리고 투여하는 항생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수술 후 24시간 이내에 아기와 함께 모자동실을 이용할 수 있으면, 바로 모유수유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만약 아기가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거나, 산모가 수술 후 경과를 지켜봐야 하는 경우라면, 모유수유를 시작하는 시기가 늦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