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유독 겨울에 건조해지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유소유소유입니다. 겨울이되면 유독 건조해지는데 왜 그런걸까요?

건조해지니 정전기도 많이 생기고 피부도 엄청 안좋아지는데 말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철에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면 공기의 밀도가 높아져서 공기 분자간의 거리가 좁혀지고 수분이 끼어들 공간이 감소하기 때문에 공기가 건조해 집니다. 반대로 여름에는 공기가 뜨거워서 밀도가 낮아지고 과습한 상태가 됩니다. 겨울철에는 정전기 방지와 피부의 건강을 위해서 빨래를 집안에서 말리거나 가습기를 틀어놓거나 하여 실내에서 적절한 습도유지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의 온도가 높을수록 포화수증기량이 높아져

      수증기를 더 많이 가질수 있게되어 습도가높지만

      반대의경우 포화수증기량이 떨어져

      습도가 낮게됩니다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그것은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 입니다..

      시베리아 기단은 건조하고 차가운 성질을 지니죠..

      겨울철에는 대륙쪽에서 시베리아 기단이 발달하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자연히

      겨울에 춥고 건조하게 됩니다.

    • 겨울철에 공기가 건조해지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겨울철에는 대기 중 수증기가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온도가 낮아지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액체나 고체로 변하게 됩니다. 따라서 겨울철에는 대기 중 수증기 농도가 적어지면서 공기가 건조해지게 됩니다.

      둘째, 겨울철에는 대기 중 습도가 낮아지는 것도 이유 중 하나입니다. 공기가 건조하면 물기가 쉽게 증발하기 때문에 대기 중 습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겨울철에는 공기가 건조해지게 되며, 이는 정전기 발생 원인 중 하나가 됩니다. 특히, 난방이나 에어컨으로 인해 실내 공기가 더욱 건조해지면 정전기가 더욱 쉽게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겨울철에는 실내에서 적절한 습도 조절을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겨울이 건조한 이유는 날씨가 춥기 때문입니다.

      공기에 포함된 습도는 온도에 의해 결정되는데,

      온도가 높으면 공기 속에 수증기가 많이 포함될 수 있고,

      온도가 낮으면 수증기가 얼기 때문에 공기 속에 많이 없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겨울에 건조한 기후가 되고, 마찬가지로 피부도 건조해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