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에서 산소가 없이 살수 있는 생물이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우리 인간이나 많은 동물들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것이 산소잖아요. 그런데 지구상 존재하는 생물중에 산소가 없이도 살수 있는 생물이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산소가 없이도 살 수 있는 생물들이 지구상에 존재합니다. 이러한 생물들은 '혐기성 미생물(anaerobic micro organisms)'이라고 합니다. 혐기성 미생물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오히려 산소가 있는 환경에서는 생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은 대부분 미생물로, 여러 다른 화학적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얻습니다. 예컨데, 일부 혐기성 미생물은 황화수소, 메탄, 아세테이트 같은 화합물을 분해하거나 전환시켜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이런 특성 때문에 혐기성 미생물은 하수 처리, 메탄 가스 생산, 유기물 분해 등 여러 산업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일부 극단적 환경에서는 혐기성 조건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환경에서 발견되는 미생물은 지구상의 다양한 생명 형태와 생태계의 복잡성을 보여 주는 좋은 예입니다.네, 지구에는 산소가 없이도 살 수 있는 생물들이 존재하며, 이러한 생물들은 주로 혐기성 생물이라고 하고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살아가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주로 깊은 바닷속 열수구 주변이나 늪지대, 동물의 장내 등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다양한 세균들이 있으며 극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미생물인 고세균은 뜨거운 온천이나 염도가 높은 호수 등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도 잘 자랍니다.
또한 일부 기생충이나 혐기성 환경에 적응한 단세포 생물들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지구상에 산소(O2)가 대량으로 발생하기 이전에는 산소 없이 호흡하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존재했습니다.
산소가 대량 발생하면서 이들중 많은 수가 멸종했지만 아직까지도 많은 종들이 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산소 없이 살 수 있는 생물을 혐기성 생물이라고 부릅니다.
대부분 박테리아와 고세균에 속하는 미생물이지만 진핵세포를 가진 몇몇 생물들도 산소 없이 살아갈 수 있습니다.
절대혐기성 생물은 오히려 산소가 있는 환경에서 살 수 없는 생물들입니다.
이 미생물들은 산소호흡 대신 발효나 무산소호흡을 통해 에너지를 얻습니다.
파상풍을 일으키는 클로스트리듐 속 박테리아들이 대표적인데 이들을 산소로 소독하기도 합니다.
메탄 생성균은 고세균에 속하는 생물로 이들 역시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살아가며 메탄을 생성합니다.
산소가 있는 환경에서도 살 수 있고 없는 환경에서도 살 수 있는 생물을 통성혐기성 생물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대장균과 효모(진핵세포생물/균류)가 있습니다. 이들은 산소가 있으면 산소 호흡을 하고 없으면 발효를 통해 대사하여 에너지를 얻습니다.
안녕하세요.
네,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경우에는 세포호흡을 하는데 반드시 산소가 필요한 생명체이지만, 지구상에는 산소없이 살 수 있는 생명체들도 많이 존재합니다. 메탄세균, 환산염환원세균, 클로스트리디움 등을 포함한 혐기성 세균의 경우 산소가 없는 조건에서 생육하는 세균이며, 이들의 경우 세포호흡 과정에서 인간과 달리 전자수용체를 산소 이외의 질소나 황을 사용하기 때문에 산소 없이도 생존 가능합니다. 또한 모든 동물은 살아가기 위해 산소를 필요로 한다고 알고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동물이 최초로 발견되었는데요, ‘헨네구야 살미니콜라(Henneguya salminicola)’란 학명의 작은 기생충은 연어 세포 속에 사는데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게 진화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지구상에는 산소 없이도 살아갈 수 있는 생물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생물들은 주로 혐기성 생물이라고 불리며, 이들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도 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부 세균은 산소 대신 다른 화합물을 이용해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이들은 주로 깊은 해양이나 진흙 속 등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발견됩니다.
일부 원생생물도 산소 없이 생존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됩니다.
네, 지구에는 산소 없이도 살 수 있는 생물이 존재합니다. 혐기성 생물이라고 불리는 이들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생존하며, 주로 세균이나 고세균 같은 미생물들입니다. 이들은 산소 대신 황, 질소, 이산화탄소 등을 이용해 에너지를 얻습니다. 이러한 생물들은 심해 열수구, 토양, 소화기관 등 산소가 없는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혐기성 세균: 이들은 산소 없이도 생존할 수 있으며, 주로 발효나 다른 화학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얻습니다. 예를 들어, 유산균은 유산 발효를 통해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지구에는 산소가 없이도 살아갈 수 있는 생물이 있습니다. 그런 생물들은 주로 혐기성 미생물(예: 일부 박테리아와 원생동물)로이라고 부르죠.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에너지를 얻기 위해 다른 화학 물질을 이용합니다. 주로 진흙, 소화관, 깊은 해양 바닥 등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발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