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시대 4도호부 8목이 어떤건지요?
안녕하세요? 고려시대 현종때 4도호부 8목을 설치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요 이 4도호부 8목은 각각 어떤것을 의미하는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4도호부와 8목이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고려의 행정 구역은 성종 초부터 정비되어, 성종대에는 지방행정상의 요지에 12목을 설치하였고 전국에는 십도제가 시행되었습니다.
현종대에는 4도호 8목과 56지주군사 28진장 20현령을 설치하였습니다.
이 현종대의 지방관제가 고려시대의 기본구조가 되었다고 합니다.
4도호부는 고려시대의 행정 기관으로 고려 초기 지방제도가 정비되기 전에 지방을 통제하려는 목적으로 설치된 군사적 성격의 행정 기관이었으나, 지방제도가 정비되어감에 따라 점차 군사적 성격을 잃고 일반적인 행정 구역이 되어갔습니다. 최초로 설치된 도호부는 태조 원년(918년)에 설치된 평양대도호부인데, 곧 서경으로 승격하면서 폐지되었습니다.
8목은 고려 시대의 지방 행정 구역으로, 정3품 목사를 장관으로 삼았습니다. 지방행정의 중심으로 하급 행정단위인 군과 현보다 여러 가지로 우대를 받았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4도호부 8목은 고려 시대 지방 행정 체제의 중요한 변화를 의미합니다. 이전에는 12목 체제였던 것을 4도호부와 8목으로 개편하여 지방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앙 정부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각 도에는 도호부를 설치하여 군사, 행정, 재정 등을 관할하는 중앙 정부의 지휘소 역할을 했습니다.각 도호부 아래에는 목을 설치하여 군, 현 등을 관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