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현재도개방적인킹크랩
현재도개방적인킹크랩

이자율, 채권 수익률, 채권 가격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이자율과 채권 수익률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나

이자율과 채권 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는게 무슨 뜻인지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사실 채권 자체에 대한 이해가 잘 되지 않아 위 내용을 이해하기가 더욱 어려운 것 같습니다.

예시와 함께 설명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 개념 및 이자율, 수익률, 가격 관계 요약

    채권의 기본 개념 : 채권은 정부나 기업이 돈을 빌리기 위해 발행하는 차용증으로, 채권 구매자는 돈을 빌려주고 정해진 기간 동안 이자를 받고 만기에 원금을 돌려받습니다.

    이자율, 수익률, 가격의 관계 : 이자율과 채권 수익률은 같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시중 이자율이 오르면 채권 수익률도 상승합니다. 이자율과 채권 가격은 반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고정된 이자 지급 특성 때문에 이자율 상승 시 채권 가격은 하락하고, 이자율 하락 시 채권 가격은 상승합니다.

    예시 : 이자율 상승 (6%): 기존 5% 채권의 가격이 하락하여 99만원이 되고, 실질 수익률은 약 6%로 증가.

    설명: 이자율이 6% 상승하면 기존에 사둔 5% 이자를 받는 채권과 현재의 6% 받는 채권를 비교하면 6% 받는 채권을 투자자는 더 선호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5% 이자를 받는 채권을 갖고 있는 사람은 채권의 가격을 낮춰야 채권을 처분하고 현금화 할 수 있음으로 채권의 가격은 하락하게 되고 채권의 가격이 하락함으로 실질 수익률은 5% 에서 채권가격을 낮춘만큼 이자율 금리는 올라가게 됩니다.

  • 이자율과 채권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고, 이자율과 채권 수익률은 같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이자율이 오르면 새로운 채권의 이자가 높아져 기존 채권의 매력이 떨어지므로 채권 가격은 하락합니다.

    반대로 이자율이 내리면 기존 채권의 이자가 더 매력적이 되어 가격이 상승합니다.

    채권 수익률은 채권을 사는 가격 대비 수익률을 의미하는데, 이자율이 오를 때 채권 가격이 떨어지면 더 낮은 가격에 고정 이자를 받으므로 수익률은 상승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의 이자율은 고정되어 발행합니다. 이에 따라서

    채권가격이 떨어진다면 이에 따라서 채권을 싸게 구입하였기에

    이자율이 올라가는 것입니다.

    채권가격이 오른다면 이에 따라서 채권을 비싸게 구입하였기에

    이자율이 내려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은 말하신대로 채권금리와 가격은 반비례하죠 금리가 높으면 가격이 낮고 금리가 낮아지면 가격이 높아지죠

    간단하게 할인채 생각하면 100만원을 1년짜리 5프로에 할인해서 사면 95만원이 만기에 100만원이 되죠

    10프로 할인해서 사면 90만원을 투자해서 만기에 100만원을 받죠

    5프로면 현재가 95만원이 100만원으로 10프로면 현재가 90만원이 100만원으로 됩니다

    단순하게 생각하자면 이렇게 생각하는게 이해가 편할거 같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이자율과 채권수익률은 같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이는 이자율이 상승하면 채권수익률도 상승하고, 이자율이 하락하면 채권수익률도 하락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자율과 채권가격은 반대로 움직입니다. 이는 이자율이 상승하면 채권가격이 하락하고, 이자율이 하락하면 채권가격이 상승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채권을 구매할 때와 판매할 때의 상황을 생각해보면 됩니다. 채권을 구매할 때는 이자율이 하락하여 채권가격이 상승한 경우, 더 저렴한 가격으로 채권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이후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하면 약속된 이자를 받을 수 있으며, 채권을 판매할 때는 이자율이 상승하여 채권가격이 하락한 경우, 더 높은 가격으로 채권을 판매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채권수익률과 이자율은 비례하고 채권가격과는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