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파리만 있어도 광합성을 하나요? 광합성 많이 하는 식물은 무엇이 있나요?
시간 변화에 따른 광합성량을 이산화탄소량을 통해서 측정하는 실험을 해야 하는데 이파리만 뜯어서 가져다놓아도 광합성을 하나요….?
또 이 실험에 쓰기 좋은 광합성 많이 하는 식물은 어떤 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분리된 잎만으로도 일정 시간 동안 광합성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잎은 광합성 과정을 수행하는 주요 기관으로, 빛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잎 내에서는 엽록체(chloroplasts)가 포함되어 있어, 이들은 빛을 흡수하고 이를 이용해 물과 이산화탄소로부터 포도당과 산소를 생성합니다. 그러나 잎이 식물 몸체에서 분리된 후에는 영양분 공급이 중단되고, 물손실이 증가하며, 결국 세포가 죽어 광합성 능력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실험을 수행할 때는 가능한한 신선한 이파리를 사용하고, 실험 환경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광합성 실험에 적합한 식물로는 빠르게 성장하고 광합성 능력이 높은 식물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빠른 성장률을 보이는 콩과 식물(ex : 완두콩), 큰 잎을 가진 식물(ex : 빅토리아 아마존카), 광합성 효율이 높은 일부 식물(ex : 옥수수, 사탕수수)이 실험적 연구에 자주 사용됩니다. 이들 식물은 높은 광합성 활동을 보여주므로, 시간 변화에 따른 이산화탄소 변화를 측정하는데 효과적입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이파리만 있어도 광합성을 할 수 있지만, 이파리가 신선하고 건강할 때만 가능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광합성 능력이 떨어집니다.
광합성을 많이 하는 식물로는 엘로데아 같은 수생 식물이나 콩나물, 시금치 같은 잎이 넓은 식물이 실험에 적합합니다. 특히 엘로데아는 광합성 실험에 자주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이파리를 뜯어서 가져다 놓으면 광합성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광합성은 생명체가 살아있고, 잎이 식물에 붙어 있어야 제대로 진행됩니다 이파리만 떼어내면 그 식물의 광합성 능력이 제한되기 때문에,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네, 이파리만 있어도 광합성을 합니다. 잎에는 엽록체가 있어 빛에너지를 이용해 광합성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광합성을 많이 하는 식물로는 옥수수, 사탕수수, 해바라기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식물들은 잎 면적이 넓고 생장 속도가 빨라 광합성량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