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밤하늘을 보면 컴컴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낮에는 태양빛의 산란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인다고 하는데요

그러면 밤에 하늘을 보면 컴컴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햇빛이 없어서 그렇지는 않을것 같아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멋쟁이야나는
    멋쟁이야나는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이 지구의 반대편에 있어서 지구의 그늘이 생기기 때문에 밤이 되는 것입니다. 지구의 대기 중에 먼지, 수증기, 오존, 이산화탄소 등이 존재하여 빛을 흡수하고 산란시키기 때문에 밤하늘이 어두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가 팽창하고 있기 때문에 지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별들의 빛은 지구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겁니다. 즉 우리는 우주 전체가 아니라 일부 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밤하늘이 어두운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옥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햇빛이 없다는 것만으로는 밤에 하늘이 어둡게 보이는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는 말씀이 맞습니다. 밤에 어두운 하늘이 나타나는 현상은 주로 지구의 자전과 태양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에 기인합니다.

    낮 동안 태양이 지평선 위에 있을 때 햇빛은 특히 분자와 작은 입자에 의해 지구 대기에 산란됩니다. 이러한 산란 현상은 레일리 산란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더 짧은(파란색) 빛의 파장에 영향을 미쳐 하늘이 파랗게 보이게 됩니다.

    밤에는 태양이 수평선 아래에 있을 때 대기를 밝게 하는 직사광선이 없습니다. 그러나 단지 햇빛이 없다면 하늘은 여전히 ​​별빛과 다른 천체 광원에 의해 다소 비춰질 수 있습니다.

    그러면 왜 하늘이 대신 어두워 보이는 걸까요?

    중요한 요인은 지구의 대기가 모든 방향에서 균일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낮에는 햇빛이 태양 방향에서 대기를 비추고, 이 산란된 빛이 하늘을 푸른색으로 채웁니다. 그러나 밤에는 태양이 지구 반대편에 있을 때 햇빛을 산란시키는 대기의 일부가 그림자에 가려져 있고 이를 비추는 강력한 광원이 없습니다.

    또한 지구가 회전함에 따라 대기의 다양한 부분이 지구의 그림자 속으로 이동하여 산란되는 빛의 양이 더욱 줄어듭니다. 이 효과는 햇빛에 비해 별빛의 상대적인 어두움과 결합되어 밤하늘이 어둡게 보이는 결과를 낳습니다.

    그러나 하늘이 우리 눈에 어둡게 보이더라도 빛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 별빛, 달빛, 인간 활동으로 인한 빛 공해 등 밤에는 여전히 희미한 빛의 근원이 있습니다. 인공 광원에서 멀리 떨어진 극도로 어두운 장소

    답변이 도움이되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빛이 없으면 우주에서오는 달빛이나 별빛등밖에 없기때문에 푸른색의 산란을 일으키기는 어려워 우주의 색인 검정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밤하늘이 어두운 이유는 빛이 없기 때문입니다.

    즉 어둠을 밝혀주는 빛에너지가 없기에 즉 색을 보여주는 가시광선이 없다는거죠.

    그래서 낮에는 희미하게 보이는 달이 밤에는 달이 더욱 빛나보이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