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팔팔한쿠스쿠스26
팔팔한쿠스쿠스26

00 대학병원 전문의 라는건 그 대학병원에서 인턴,레지던트를 수료했다는 건가요?

성별
여성
나이대
30

해당 대학병원에서 인턴과 레지던트 과정을 이수해야만 그 병원의 전문의가 될 수 있는건가요? 아니면 인턴,레지던트는 다른 곳에서 이수해도 가능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대면 상담없이 작성된 댓글은 참고만 하세요

    보통은 레지던트 수료한 병원을 적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간혹 펠로우 (전임강사) 수련 병원을 기재하는 경우도 있을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딘.

    해당 병원 전문의는 그 병원에서 인턴이나 레지던트를 하지 않아도 가능합니다. 수련병원에서 수련의 과정을 거치고, 전문의 시험에 통과하면 전문의가 될 수 있습니다.

  • 지금 근무하는 병원소속의 전문의라는 의미일뿐입니다. 타병원에서 인턴, 전공의를 마쳤어도 현재의 소속에 따라서 기재하는 겁니다.

  • 학생, 인턴, 레지던트는 각각 다른 병원에서 수련을 받을수 있습니다. 어느 병원에서 수련을 했건간에, 특정 과를 전공하고 나서 국가에서 시행하는 전문의 시험에 통화를 하면 전문의가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해당 대학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전문의는 그 병원에서 수련받지 않아도 채용만 된다면 근무할 수 있으므로 수련병원과는 다를 수 있고, 수련받은 출신병원이 ㅇㅇ대학병원이라 한다면 그 병원에서 레지던트 과정을 밟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수련이라는 표현이 모호해서, 인턴을 했는지, 레지던트를 했는지, 펠로우 (전임의)를 했는지를 알기 어려울 수는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대학교, 인턴, 레지던트 모두 다른곳에서 수련해도 해당 병원에서 전문의로 근무할 수 있습니다.

    대학 따로, 인턴 따로, 레지던트 따로, 펠로우 따로, 대학교수 따로 취직을 합니다.

    심지어는 드물지만 레지던트를 3-4년을 한곳에서 모두 수련하지 않고 짤라서 수련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