넛 크래커라는 용어에 대해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넛 크래커가 기술/품질/가격에 대해 밀린다고 대충 알고있는데
넛 크래커에 대한 정확한 정의와 어디서 유래된 말인지 궁금합니다.
간단한 예시가 있으면 좋을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가 일어나기 직전 미국의 컨설팅 기관인 부즈 앨런 & 해밀턴은 〈한국보고서-21세기를 향한 한국경제의 재도약〉에서 "한국은 비용의 중국과 효율의 일본의 협공을 받아 마치 넛크래커 속에 끼인 호두처럼 되었다. 변하지 않으면 깨질 수밖에 없는 운명이다"고 한 데서 유래하였습니다. 넛크래커는 호두를 양면에서 눌러 까는 호두까기 기계를 말합니다. 외환위기를 겪을 당시에는 한국의 수출산업이 처한 상황을 대변하는 용어로 많이 쓰였는데, 이 말 속에는 당시 한국이 도저히 외환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는 빈정거림이 깔려 있었습니다. 즉 그동안 한국은 일본의 기술을 그대로 따라 하느라 독자적인 기술을 확보하지 못했고, 인건비의 상승으로 빠르게 따라 오는 중국의 값싼 제품에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없었습니다.
이후 넛크래커는 한국이 미국·일본과 같은 선진국에 비해서는 기술과 품질면에서 뒤지고,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등 후발 개발도상국에 비해서는 가격 면에서 뒤지는 현상을 일컫는 말로 일반화되었습니다. 그러나 한국은 그동안 정보기술(IT) 분야에서 급속한 발전을 이루어 반도체·가전제품·휴대폰 등 세계 최고의 정보기술 국가로 발돋움하였습니다. 일부에서는 이를 가리켜 '가격은 일본보다 낮고, 기술은 중국보다 앞섰다'고 하여 역(逆) 넛크래커 현상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넛 크래커라는 표현은 호두를 양쪽에 끼고 호두를 까는 호두까기에서 유래된 단어입니다.
넛 크래커라는 것은 일반적으로는 개발도상국에 비해서는 가격경쟁력이 열세에 있고 선진국에 비해서는 품질의 열세가 있어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사이에 끼어있는 한국경제를 가리키는 단어로 사용됩니다. 다만 최근에는 현재 중국과 미국 사이의 미중 전쟁 사이에 껴서 이도저도 하지 못하는 우리나라으 현재 상황을 넛 크래커라는 단어로 표현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넛크래커의 원래 의미는 호두까기 도구를 말합니다. 이는 특정 국가가 선진국에 비해서는 기술과 품질경쟁에 밀리고 후진국에 비해서는 가격경쟁에서 밀리는 것이 호두까기에 끼인 호두와 비슷한 상황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0년대 중국에는 가격경쟁력에서 밀리고 일본에는 품질경쟁에서 밀리는 상황이 이런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넛 크래커(nut-cracker)는 한 나라가 기술과 품질이 우수한 선진국과 임금과 원가가 저렴한 개발도상국 사이의 경쟁에서 뒤쳐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넛크래커는 원래 호두를 양쪽에서 눌러 까는 기계를 뜻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성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넛 크래커란 한국 경제가 선진국에 비해서는 기술과 품질 경쟁에서, 후발 개발도상국에 비해서는 가격 경쟁에서 밀리는 현상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