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융합 발전소는 언제쯤 만들어질까요?
우리나라는 핵융합 발전소 기술이 다른 나라보다 많이 앞서 있다고 하는데요, 지금과 같은 상태로 개발을 한다면 핵융합 발전소는 언제쯤 만들어질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핵융합 발전은 현재의 원자력 발전소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신기술 입니다. 방사성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으며 대기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꿈의 에너지라 할 수 있습니다.
인공태양이라 불리우는 초고온 플라즈마를 만들어 내는 것인데 아직은 실험단계 입니다. 발전속도로 계산을 해보면 2050년 경에는 상용화 될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마 인공지능의 발달로 인해 그러한 예측은 갈수록 시간이 단축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인공 태양이라 불리는 핵융합 발전은 미래 에너지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KSTAR 같은 연구를 통해 앞서나가고 있습니다. 제가 가진 정보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30년대 초까지 발전소 건설에 필요한 기술을 완성하고, 2040년대에는 실제 발전소 건설을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50년대에는 핵융합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실증을 계획하고 있지요. 아직 많은 기술적 난관이 있지만, 지속적인 연구와 국제 협력을 통해 핵융합 발전의 상용화가 점차 현실로 다가오고 있답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KSTAR(한국형 초전도 핵융합연구장치) 등의 기술을 통해 핵융합 연구에서 선도적인 위치에 있습니다.
현재 실험 단계에서는 안정적인 플라즈마 유지 시간이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용 핵융합 발전소를 만들기
위해선 에너지 효율, 재료 내구성 등 많은 기술적 난제가 남아 있습니다. 전문가분들이 예상하기론 지금과 같은 개발
속도라면 상용 핵융합 발전소는 2050년대에나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다만 국제 공동 프로젝트 결과에
따라 시기는 앞당겨질 수도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상용화 시점은 적어도 2030년 이후 길게는 2050년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나온 구체적인 일정은 2050년 국제핵융합실험로를 완공 예정에 있으며 ,
이후 본격적인 실험이 진행될 것으로 보여 집니다. 현재 개발 속도로 보자면 2030년 이후 건설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