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노화 세포 리프로그래밍 기술이 현재 알려진 IPS만 있나요?
사진 첨부로 인해 다시 올립니다.
안녕하세요 궁금한게 있는데 .
1. 최근 연구인 싱클레어의 IPS를 통한 역노화 기술이 가능성이 없다고 결론이 났다고 하던데 그게 사실인가요?
어떤분이 논문을 보고 예기하더라구요.
P53 사멸이 원인이라고 하던데.
가능성이 없다고 결론이 났다는건 더이상 IPS를 통해연역노화 연구를 하지 않는다는건지?
세포 리프로그래밍이 IPS현재 이 기술만 있는건지?
세포 역노화는 세포를 리프로그래밍(Reprogramming)해 세포의 건강을 유지시키고, 세포의 재생 능력을 복원하는 기술이며 즉 세포를 ‘초기화’ 시킨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세포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건강수명 연장과 노년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데요, 노화된 세포에 유전자를 조절하는 단백질 인자를 혼합하여 mRNA 형태로 주입해 세포의 나이를 되돌리는 기전인 ‘ERATM’ 플랫폼이 연구 중에 있습니다.
앞선 질문에서 싱클레어의 연구가 가능성이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는 이야기는 사실이 아니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조금 더 자세한 설명을 드리면 오히려 유전자 편집과 세포 리프로그래밍 기술을 활용하여 세포의 노화 과정을 되돌리려는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P53 유전자는 세포 사멸과 관련이 깊지만 이것이 IPS를 통한 노화 역전 연구의 가능성을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P53과 같은 중요한 유전자들을 연구함으로써 노화 및 세포 사멸 과정의 더 깊은 이해를 도모하고 이를 통해 더 효과적인 역노화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역노화 세포 리프로그래밍 기술은 IPS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Yamanaka 연구가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데이비드 싱클레어 연구팀의 부분적인 세포 리프로그래밍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이며, 가능성이 없다고 결론난 것은 아닙니다. P53 억제로 인한 암 발생 가능성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지만, 연구팀은 P53 억제 없이도 역노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 중입니다. 세포 리프로그래밍 기술은 IPS 외에도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싱클레어 연구팀의 방법은 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IPS를 통한 역노화 연구가 중단된 것은 아니며, 다른 세포 리프로그래밍 기술과 함께 지속적으로 연구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