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을 가진 생물은 자신의 독에 면역이 있나요?
독으로 사냥을 하고 방어를 하는 생물들이 있습니다. 같은 종끼리 싸움이 일어날 수도 있을텐데 독을 가진 생물은 자신의 독에 면역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네 있습니다.
대부분 자기가 가진 독에 대한 면역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일부 생물은 자기독에 대한 면역이 조금 또는 없는 경우도 있어요
대표적인게 말벌이나. 복어죠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많은 독성생물들은 자신의 독 선분에대해서 어느정도 내성이나 면역을 갖고있습니다.
예를들어서 뱀은 독 단백질이 자신의 수용체에 결합되지않도록 변형된 단백질을 가지고있고,
전갈이나 두꺼비는 독을 독샘에 안전하게 저장하는 특수구졸르 발달시켰습니다.
다만 모든종이 완변히 면역인건 아니라서, 같은종끼리 깊게 상처가나도록싸우면
독에의해 치명상을 입기도합니다.
감사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어느정도 면역을 가지고 있으며 크게 유전적 적응과 생화학적 기작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독을 가진 생물들은 오랜 진화 과정을 거치며 독 성분에 대한 저항성을 갖도록 유전적으로 적응해 왔습니다. 이 과정에서 독에 반응하는 단백질 수용체나 효소의 구조가 변이되어 독 성분이 제대로 결합하지 못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특정 독사가 가진 신경독은 신경계의 특정 단백질에 결합하여 마비를 일으키는데, 독사 자신의 단백질은 독이 결합하기 어렵게 구조적으로 변형되어 있는 것이죠.
이러한 변이는 다음 세대로 유전됩니다.
면역성을 확보하는 또 다른 방법은 몸속에서 독을 중화하거나 분해하는 생화학적 기작을 가지는 것입니다.
일부 독사들은 혈액 속에 독 성분을 무력화시키는 단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단백질은 독이 주요 기관이나 세포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미리 결합하여 독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독을 생산하는 기관 자체도 독에 대한 보호 장치를 가지고 있어 독샘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죠.
대부분의 독을 가진 생물은 자신의 독에 면역이 있습니다. 이 면역은 다양한 기작을 통해 발달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독소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는 단백질을 생산하거나, 독소가 작용하는 수용체를 변형시켜 독소가 결합하지 못하게 합니다. 하지만 모든 독성 생물이 완벽한 자가 면역을 갖는 것은 아니며, 독의 종류와 생물의 생리학적 특성에 따라 면역의 정도는 다를 수 있습니다.